누리호 성공 소식에 발사 일정 앞당긴 듯
일, 발사 통보 받고 기시다 즉시 자제 요청
누리호와 달리 북한의 위성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위반
방위성, 오키나와현 섬에 유도탄 패트리엇 배치
서해 2곳·필리핀 동쪽 1곳에 항행 경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찰위성 발사준비위원회 사업 현지 지도 장면.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보도했으며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지난달 우주개발국에 이어 동행했다. [연합]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관련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해온 북한이 급기야 오는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 발사에 나선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북한이 29일 인공위성을 오는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했다고 밝혔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이 기간에 인공위성 발사에 따라 해상에 위험구역을 설정하겠다는 계획도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또 일본 NHK는 북한이 이 같은 방침을 국제해사기구(IMO)에 밝혔다고 보도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번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계획과 관련해 "한국, 미국 등과 협력해 북한에 강한 자제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수차례 공언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 입장에서 볼 때 한국의 누리호 성공을 바라보는 속내가 편치 않았을 것으로 입을 모은다. 

북한이 선전매체인 '조선의 오늘'을 통해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한 직후인 28일 "정찰위성 개발사업은 우리의 자주적 권리와 국익을 수호하고 국위를 제고하는 중대한 사업"이라며 "우리의 국가주권과 정당 방위권에 속한다"고 주장한 것도 누리호 성공 소식에 조급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누리호를 의식한 북한이 정찰위성 1호기 발사 소식을 앞당겼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북한은 지난 4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완성됐다고 알렸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6일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한 뒤 위원회의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했다.

그러나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할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주장한 날, 바로 G7 정상회의가 열리기 2일 전이고인공위성이 발사체와 결합될 때까지 3~5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소한 6월 중순 이후에야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해 왔다.

또 김정은이  위성 사업을 현지지도하며 전면에 나선 상황에서 서둘러 발사에 성공한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 누리호 3차 발사에 성공한 한국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최고존엄의 이미지'를 손상받을 수 있다.

북한은 그동안 국제사회가 남한의 우주개발은 허용하면서 자신들에게는 금지하는 상황을 '이중기준'이라고 비판해 왔다.  

그러나 북한의 우주 발사체는 중장거리 탄도미사일과 발사 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북한의 위성 발사는 누리호 발사와 달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일본 정부도 북한의 군사정찰위성에 대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라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위반이라고 지속해서 항의해 왔다. 

방위성은 북한의 위성 발사에 대비해 오키나와현 섬 3곳에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엇(PAC-3)을 배치하기도 했다.

 NHK는 이날  "(북한이)'인공위성'이라고 칭하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표명했다는 정부측 견해"를 보도하기도 했다. 

이어서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통보한 뒤 발사체를 쏘아 올린 것은 지금까지 4차례 있었고, 그중 2회는 궤도에 무언가를 올렸으나 위성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방위성은 장거리탄도미사일 기술을 높이기 위한 발사였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본 해상보안청은 낙하가 예상되는 해역은 서해 2곳, 필리핀 동쪽 해상 1곳 등 총 3곳으로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쪽이라며 이곳에 항행 경보를 내리고 통행하는 선박에 주의를 당부했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