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도 국제사회에 단호한 대응 촉구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뉴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백악관은 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할 경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서방의 주요 국가들이 북중러 밀착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외교무대에서 국제사회에 단호한 대응을 촉구할 예정이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5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군사적 지원을 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과 러시아 간 논의가 활발하게 진전되고 있다는 게 우리의 분석"이라면서 "양국 무기 거래와 관련해 앞으로 지도자급 논의가 계속될 것이란 정보를 가지고 있다. (양국) 지도자들이 직접 대면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미 정부가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 계획에 관한 정보를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북한을 겨냥한 직접적인 경고 메시지를 날린 형국이다.

설리번 보좌관은 "우리는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한 공개적 약속을 준수하고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죽이는 데 쓰일 무기를 러시아에 공급하지 말 것을 북한에 계속 요구할 것"이라며 "그럼에도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할 경우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분명히 무기 제공과 관련한 최종 의사결정권자"라며 "다른 국가들도 (우리와)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할 것이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을 전 세계에도 계속 알릴 것"이라고 예고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전날 북·러 합동 군사훈련을 시사한 것과 관련해선 "러시아가 북한과 더 많은 군사훈련을 하려 한다면 이는 러시아가 선택할 문제"라며 "미국이 그간 광범위한 동맹 및 파트너들과 함께 한 일들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안보를 강화했다고 믿는다"고 했다.

주요 외신들은 미 당국자 등을 인용해 김정은 위원장이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무기 거래를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 블룸버그 통신은 5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0∼13일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 기간 푸틴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면서 "푸틴과 김정은 사이에 싹트는 '브로맨스'(남자들의 우정)는 세계에 위험한 일"이라고 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할 무기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러시아는 북한이 보유한 소련제 탄약과 무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을 치르는 데 필요한 122㎜ 포탄과 152㎜ 포탄, 122㎜ 로켓 등이 거론된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배치한 소련제 T-54 전차와 T-62 전차의 부품도 북한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만성적인 경제난에 시달리는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현금 지원을 비롯해 석유, 식량, 기계 등의 물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군사적으로는 북한이 핵잠수함, 정찰위성 등과 관련한 첨단기술을 러시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어 비상한 관심을 요한다.

윤 대통령은 5일 공개된 인도네시아 언론 '콤파스'와의 인터뷰에서 "날로 고조되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위협은 아세안 국가들에도 직접적이며 실존적인 위협"이라며 "한국과 아세안이 단합해 단호하게 대응하고 북한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마땅히 건설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면서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한일중 3국 간 협력도 다시 궤도에 올려놔야 한다"며 "한국은 3국 간 협의체 의장국으로서 한일중 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새로운 한미일 협력의 틀에서 북-러 밀착에 대응하는 한편 북한 비핵화를 위한 중국 역할론을 다시금 부각하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