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틀린 역사왜곡이 반일감정만 고취시킨다"며 비판

낙성대 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인 이우연 박사가 한국 학계에서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일본 강제 징용노동자’에 대해 역사적인 실상과 다른 부분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같은 학계의 기정사실화가 ‘역사왜곡’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이우연 연구위원(사진=유튜브 채너러 '이승만TV')
이우연 연구위원(사진=유튜브 채너러 '이승만TV')

이우연 박사는 16일 근현대사와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강의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 ‘이승만TV’에 출연해 “한국의 연구자는 대부분 조선인들이 일본 관헌에 의해 강제로 끌려가서, 다시 말해 ‘강제 동원’ 되어서 ‘노예 노동’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것은 명백한 역사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관련 영상: [위기 한국의 근원 : 반일 종족주의 (4)] 강제연행의 신화>

이 박사는 '강제 징용'이 기정사실화된 계기에 대해서 “조선대학의 교원 박경식씨가 앞서 말씀드린 내용을 가장 처음으로 주장했다”며 “일제가 잔혹하게 조선인을 착취했다고 선동함으로써 당시 진행되고 있던 한일 국교정상화를 저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국의 국교가 정상화되면 북한이 일본과 한국에게 포위되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그로부터 시작해서 이 주장은 2018년 지금까지 가장 강력한 학계의 통설로 남아있다”며 “(이 주장은 50년동안 반복되면서) 한국의 정부기관, 교육기관, 언론계, 문화계 등 이 사회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줬고, 그것이 우리 국민들의 일반적인 상식으로 자리 잡게 됐으나 이것은 명백한 역사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산케이는 "'군함도의 진실' 홍보영상에 등장하는 사진이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신문 1926년 9월 9일자에 게재된 것이라면서 "'조선반도 출신자'라는 기술은 기사에 없다"고 썼다. [사진 산케이신문 캡처]

이 박사는 역사왜곡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한 사진을 예시로 들었다. 이 사진(왼쪽)은 ‘조선인 강제징용노동자’로 알려진 채 널리 유포된 사진이며, 사진 속에는 갈비뼈가 앙상하게 남아 고초를 겪은 것으로 보이는 10여명이 서 있다.

그는 이 사진에 나온 인물들이 ‘조선인’이 아니라면서 단순히 반일감정을 고취시키기 위해 검증조차 도외시된 채 퍼진 사진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로 기정사실화되며 각종 교과서에 실리기도 하고, ‘군함도’라는 영화 광고를 위해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광고까지 나갔다고 비판했다.

이 박사는 이 사진과 관련해 ‘1926년 9월 9일 일본의 아사히카와라는 신문에 게재된 홋카이도 토목건설 현장에서 감금된 채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일본인 10명의 사진’이라고 밝혔다. 이어 “결국 우리는 미국까지 가서 일본인을 한국인이라고 광고하면서, 우리가 일본인들에게 이렇게 당했다고 제3자에게 엉뚱한 선전을 한 모양이 돼버렸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와 같은 불확실하고 왜곡된 역사가 무비판적으로 전파되면서 심화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와 달리 타임스퀘어에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 사진을 주도해서 게재했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광고와 관련해 논란이 불거질 당시 "나가사키평화자료관 측으로부터 조선인 노동자가 분명하다는 설명을 들었다"면서 "다시 한 번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실제로 당시 타임스퀘어 옥외전광판을 통해 광고된 '군함도' 홍보영상에 활용됐던 일부 사진이 잘못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우연 박사는 “심각한 것은 이렇게 왜곡된 역사가 학생들에게 쳬계적으로, 또 지속적으로 주입되고, 그로 인해 반일종족주의가 대를 이어가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더 심각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라며 “8종의 교과서 중 7종의 교과서에는 앞서 말씀드린 ‘학대받는 일본인’들의 사진이 조선인 ‘강제징용’, ‘강제노동’이라는 제목으로 실려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박사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에 대해서 역사왜곡운동이라고 질타하며 왜곡된 역사가 성역화되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2016년부터 역사왜곡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며 ‘강제 징용 노동자상 설치 운동’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이 운동은 민노총과 한노총, 정신대대책협의회 등이 주도하고 있는 ‘일제 하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추진위원회’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며 “이 동상은 2017년 서울 용산역 앞에, 인천 부평역 앞에 설치됐으며, 그 후로는 제주와 창원에도 세워졌고, 올해는 부산 일본 총 영사관에 설치하려다가 외국 공관을 보호해야한다는 정부의 입장에 의해 저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내년에는 8.15를 맞이하여 북한과 연대해서 서울과 평양에 동시에 노동자상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이미 선포했다”며 “서울 설치장소는 일본 대사관 곁에 있는 소녀상 바로 옆자리라고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전국 시 군에 이와같은 토템을 세워 한국인들이 숭배하게 하는 것이 추진위원회의 계획이며 목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로써 얻는 것이 무엇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학교 뿐만 아니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반일민족주의를 고취하는 것, 그 외에 무엇이 생기는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박사는 오늘날 퍼지고 있는 ‘강제징용 노동자’란 왜곡섞인 역사표현과 달리 당시 실상은 자발적인 선택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가는 등 여러모로 달랐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제에 의한 강제동원 자료사진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피해 생존자의 증언과 문헌자료 등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증거들이 많다고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