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에 지속적인 무기밀매를 통해 한해 10억 달러에서 30억 달러(약 1조 1000억 원~3조 3000억 원)가량을 벌어들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텍사스 주 앤젤로 주립대의 브루스 벡톨 교수는 13일(현지시간)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최한 간담회에서 북한이 이란과 시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등 중동·아프리카 국가들에 무기를 판매해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북한 전문가인 벡톨 교수는 1990년대부터 북한의 무기 판매를 추적해왔으며 이를 최근 저서(North Korean Military Proliferation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로 발간했다.

벡톨 교수는 특히 1990년대 초 구소련의 붕괴로 지원이 끊긴 뒤 북한은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스커드 미사일에서부터 화학무기, '73식 기관총', AK-47 소총, 로켓추진수류탄(RPG) 등을 판매해왔다고 밝혔다. 특히 이란 등에는 스커드 미사일 조립공장을 세우고 부품을 조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시리아에는 2011년 내전 이후에도 무기이전을 지속해왔다. 공식 발표되지 않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시리아에 대한 무기이전은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또한 북한은 이집트로부터 스커드 미사일을 도입했지만 이를 역설계해 이집트에 개량된 스커드 미사일을 수출해왔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의 무기수출은 금지돼있다.

올해 초 대북제재위원회는 보고서에서 2012∼2017년 북한에서 시리아로 선박을 통해 탄도미사일 부품 등 최소 40건의 금수품목 이전이 있었다면서 북한과 시리아간 화학무기, 탄도미사일 거래 정황을 제기한 바 있다.

벡톨 교수는 이란의 경우 북한의 도움으로 노동, 무수단 미사일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특히 지난해 1월 무수단 미사일 이란식 버전의 시험발사도 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레바논의 무장 정파인 헤즈볼라에 직접 또는 이란을 통해 무기를 공급해왔다고 주장했다.

벡톨 교수는 이런 무기 판매는 북한의 매우 중요한 '현금 수입원'이라면서 이를 자체 무기 프로그램 개발이나 체제유지 비용으로 사용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을 통한 무기 확산은 미국의 동맹국들에도 위협이 된다면서 이를 차단하기 위해 북한의 무기 판매 대금을 세탁하는 은행이나 위장회사 등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