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도 3배 수준으로 급증"
"노동자 해외파견으로도 자금 충당"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이 날아오르는 모습. 북한이 지난 6월 1일 공개한 장면이다. [연합뉴스]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이 날아오르는 모습. 북한이 지난 6월 1일 공개한 장면이다. [연합뉴스]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자금 마련을 위해 지난해 불법적으로 가로챈 가상화폐 규모가 17억달러(약 2조3000억원)에 달한다고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이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패널은 "북한 정찰총국의 해커들이 지난해 훔친 가상화폐 규모는 전년도의 3배 수준으로 급증했다"며 "북한이 WMD 개발 자금 조달을 위해 가상화폐 탈취에 우선순위를 부여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은 자금과 정보를 빼내기 위해 갈수록 더 정교한 사이버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며 "가상화폐, 국방, 에너지, 보건 분야 회사들이 표적이 됐다"고 덧붙였다.

북한 정찰총국 소속 해킹조직 '킴수키'가 이메일 메시지를 중간에서 가로채고, 이를 도용할 수 있도록 한 구글 크롬용 확장 프로그램을 배포했다는 구체적인 사례도 제시했다.

또 패널은 해커들이 탈취한 가상화폐를 외국 관계 당국이 추적하지 못하도록 교란하는 '믹서'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밝혔다. '믹서' 서비스는 가상화폐를 작은 단위로 쪼개 원래 전송자를 찾기 어렵게 만드는 자금세탁 기법이다. 

이와함께 패널은 또 북한이 의료기관과 주요 인프라 시설을 목표로 랜섬웨어를 배포했다고 지적했다. 

랜섬웨어 공격을 통해 얻은 자금은 다른 사이버 작전을 수행하는 자금으로 활용하거나 북한 정부의 주요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 쓰였다고 패널은 덧붙였다.

또 패널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외화벌이를 차단하기 위해 2019년 말 북한 노동자의 해외 파견을 금지했음에도 북한은 가상화폐 해킹과 함께 노동자 해외 파견으로 핵 개발 자금을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노동자 파견 사실을 숨기기 위해 러시아에 건설노동자들을 보낼 때 학생비자를 받게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패널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과 관련, 핵실험은 없었지만, 풍계리 핵실험장 등 관련 시설에서 활동이 계속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탄도미사일 개발에 집중하면서 위성 발사도 지속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안보리 대북제재위 전문가패널은 대북 제재 불이행 사례 조사, 제재 이행 관련 정보 수집과 분석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러시아, 싱가포르 등 8개국에서 파견된 전문가 8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매년 두 차례 북한의 제재 위반 활동 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해 위원회에 제출한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