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2년여 전부터 실시됐던 중국 내 일부 공공기관 등의 ‘테슬라 주차금지’가 최근 취해진 조치처럼 왜곡하는 보도를 연거푸 내보내고 있어, 그 의도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전후 맥락을 취재하지 않은 KBS 기자의 무지의 산물이라고 여길 수도 있으나 동일한 내용의 보도를 연이틀 내보냈다는 점을 감안하면, 특정 의도가 개입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KBS가 ‘중국 당국이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에 이어 최근에 테슬라 금지령을 내린 것처럼 왜곡보도’하고 있다. [사진=KBS뉴스 캡처]
KBS가 ‘중국 당국이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에 이어 최근에 테슬라 금지령을 내린 것처럼 왜곡보도’하고 있다. [사진=KBS뉴스 캡처]

KBS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금지?...중국 곳곳서 다툼’ 연거푸 보도

KBS는 지난 14일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금지?...중국 곳곳서 ‘다툼’”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방송했다. KBS에 따르면, 중국 공공시설에서 최근 테슬라 차량 진입을 막으면서 곳곳에서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경찰이 전기충전소 이용까지 막아 차주가 항의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한 중국 국영기업체 주차장 출입구에 테슬라에는 '테슬라 출입금지' 라고 적혀 있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언제부터 이런 내용이 여기에 붙어 있었나요?”라는 질문에 대해 주차 직원이 “저도 잘 모르겠어요.”라고 대답하는 장면을 내보냈다.

“테슬라에는 이상 움직임 감지 시 자동 녹화 기능이 있어서, 공공 기관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KBS 베이징 특파원은 “중국 공공기관 주변에는 이렇게 진입하지 못한 테슬라 차량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면서 “최근에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일반적인 장소에서도 테슬라 차량 진입을 막으면서 곳곳에서 다툼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KBS는 같은 날인 14일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금지?…중국 곳곳서 ‘다툼’”이라는 제하의 또 다른 기사에서 “최근 중국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아이폰을 사용하지 말라는 금지령을 내렸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번에는 중국의 공공기관 곳곳에서 테슬라 차량의 진입을 막고 있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보도된 내용은 상당 부분 첫 번째 기사와 동일했다. 아이폰 금지령에 이어 테슬라 주차금지 조치가 내려졌다는 주장을 명시적으로 펴고 있는 것이다.

결국 네이버와 같은 포털에 중복해서 전송한 KBS의 기사가 강조하는 취지는 중국 정부가 최근 애플 아이폰의 사용금지령을 내렸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테슬라 주차금지 조치까지 취했다는 데 있다.

KBS가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금지?'라는 가짜 뉴스를 네이버에 중복 전송한 화면. [사진=네이버 캡처]
KBS가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금지?'라는 가짜 뉴스를 네이버에 중복 전송한 화면. [사진=네이버 캡처]

중국 당국의 ‘아이폰 사용금지’는 ‘테슬라 주차금지’보다 2년 뒤에 내려진 조치

그러나 KBS의 이같은 보도내용은 ‘가짜뉴스’이다. 나태함과 무책임한 선정주의의 합작품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중국 당국이 공무원의 애플 아이폰 사용금지령을 내린 것은 공공기관 등의 주차장 내 테슬라 주차금지를 취한 것보다 2년 뒤의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BS가 ‘아이폰 다음엔 테슬라 주차금지’라는 제목 장사를 하는 것은 중국 당국이 최근 공무원 등의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에 이어 테슬라 주차금지라는 추가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가짜뉴스’를 살포하는 행위이다.

이처럼 가짜뉴스를 살포한 것은 KBS 보도국의 나태함으로 인해 가능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건 발생 순서를 뒤집는 제목을 달아서 기사를 내보내도 이를 발견하고 바로잡는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펜앤드마이크가 조사해보니...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는 7,8월경 취해져

펜앤드마이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중앙정부 기관 공무원들에게 업무용 기기로 애플 아이폰을 사용하지 말라고 명령한 것은 지난 7,8월 경으로 추정된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7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기관 소속 공무원들은 몇 주 전부터 애플 아이폰을 비롯한 외국 브랜드 기기를 업무에 사용하거나 사무실에 가져오지 말라는 명령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뉴스가 알려진 직후 애플의 주가는 폭락했다. 애플은 총 매출의 19%를 중국시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IT조사 업체 테크인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아이폰 판매의 24%가 중국에서 발생했고, 이는 미국 21%보다 많은 수치이다.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의 경우, 미중 간의 경제 패권전쟁이 격화될 것임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국내 언론들의 주목을 받았다.

테슬라의 공공기관 내 주차금지는 2021년 5월 보도...군 시설 내 테슬라 사용금지는 2021년 3월 시행돼

그러나 테슬라의 중국 공공기관 내 주차금지 조치는 지난 2021년 5월 처음으로 보도됐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021년 5월 21일(현지시간) “일부 중국 정부 건물에 미국 전기차 테슬라 차량의 주차를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졌다”면서 “테슬차 차량에 설치돼 있는 카메라나 센서 등이 중국 정부의 통제 밖에서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위치를 노출시킨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됐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번 조치가 테슬라 차량에 내장된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등이 중국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방식으로 차량의 위치를 드러내고 민감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2021년 3월에는 일부 중국군 부대가 스파이 활동 우려를 들어 군 시설 내 테슬라 차량 사용을 금지했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중국 당국은 2년여 전부터 테슬라 주차금지 조치뿐만 아니라 군인과 핵심 국영기업 직원들의 테슬라 전기차 사용 자체를 금지해온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중국시장의 전기차 판매 순위에서 중국 업체인 비야디(BYD)에 이어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테슬라 주차금지 논란이 다시 보도되기 시작한 것도 공무원의 아이폰 사용금지 조치 이전 일이다.

KBS와 달리 YTN은 지난 8월 15일 사실 보도...“중국은 2021년 4월부터 일부 기관 테슬라 이용 불허” 소개

YTN는 지난 8월 15일 “영상 유출 시킨다? 테슬라 '중국 운행 금지' 이유” 제하의 기사에서 중국 공공기관들이 테슬라의 진입을 막는 현상을 소개하면서 “실제 중국은 2021년 4월부터 일부 정부 기관과 군부대에서 테슬라 차량 이용을 불허해왔다”고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YTN은 지난 8월 15일, 중국내 일부 공공기관에서 지난 2021년부터 테슬라 차량 이용이 불허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YTN 캡처]
YTN은 지난 8월 15일, 중국내 일부 정부 기관과 군부대에서 지난 2021년부터 테슬라 차량 이용이 불허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YTN 캡처]

또 지난 2021년 5월 21일 당시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우리 모두는 테슬라 차량에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는 걸 알고 있다”고 발언하는 모습도 소개하고 있다. YTN만 해도 테슬라의 주차금지 및 중국 내 일부 기관의 테슬라 이용 불허 현상이 2년전부터 시작된 조치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