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품전
'장서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
국가‧시‧도 지정 문화재 49종 53점
'장조 태봉도', '안중근 유묵' 등 최초 공개
동의보감 등 유물 14점 추가 영상도

 

이십공신회맹축 보사공신녹훈후. 가로 길이 24m의 국보로 40메가 이상의 용량으로 업로드 돼 있어 확대할 경우 글씨의 품격과 바탕인 비단의 결과 조직까지 감상할 수 있다. 숙종 연간에 개국공신 이래 여러 공신과 그 자손들을 모아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한 후 작성한 기록물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코로나 팬데믹후 우후죽순처럼 늘어난 미술 작품의 온라인 전시 단점은 '현장 교감'의 감동을 맛볼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온라인 전시에는 그같은 단점을 상쇄해줄 큰 강점이 있다.  

한국 회화사에서 유례가 드문 걸작으로 꼽히는 이인문(1745~1921)의 '강산무진도'는 가로만 8m(세로 43.8cm, 가로 856.0cm)가 넘는 대작이다. 

만약 이 작품을 미술관에서서 감상한다면 작품과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끝없이 펼쳐진 강과 산 밖에 안보인다. 

그러나 이 작품이 온라인 상에 '고화질'로 전시될 경우  클릭해 확대본을 볼 수 있어 산과 강 계곡 사이에서 흐리게 윤곽만 보이던 사람들의 표정까지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산수화'처럼 보이던 이 그림이 사실은 '풍속화'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또 그제서야 이인문이 이 작품에 쏟아 부은 '예술혼'과 공감할 수 있다.   

유명한 화가들의 미술작품처럼 박물관에서 먼 발치에서만 지켜 봤던 고서화 등 우리 문화재를 온라인으로 확대해 인물 초상의 터럭까지 관찰하고, 글씨나 그림의 배경 정도로만 여겨온, 비단이나 한지의 결에 숨은 역사성까지 감상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가 열린다.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 장서각에서는 오는 7일부터 장서각 소장 유물 가운데 국가‧시‧도 문화재로 지정된 자료를 총 망라한 온라인 특별전 ‘장서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을 개최한다. 

'장조 태봉도'. 장조는 사도세자를 지칭하며 태봉도(胎封圖)는 임금이 태실을 만들어 태(태아를 싸고 있는 조직인 태반과 탯줄)를 안치한 태실의 형상과 그 주변 지형을 그린 것이다.   
2022년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유묵'. 이번에 최초 공개된다. 
고종 연간 러시아 연해주 일대를 그린 '아국여지도' .
손소 적개공신 화상. 손소는 1467년 5월 이시애의 난 때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됐다. 

'장서각 온라인 전시관(ejsg.aks.ac.kr)'을 통해 만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2년 전 장서각 전시실에서 개최해 큰 호응을 얻은 '특별전-장서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 전보다 더 많은 우리 문화유산이 온라인을 통해 공개된다. 

 이번 전시에는 작년에 보물로 지정된 '태봉도' 3점과 '안중근 유묵' 1점 등 새로운 자료가 다수 추가됐다. 전시되는 자료만도 장서각이 소장 중인 국가‧시‧도 지정 문화재 총 49종 53점에 이른다. 

1부 '조선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다'에서는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의궤, 영조와 정조 등 국왕의 어필, 군영과 사적을 그린 기록화, 가로 길이가 무려 24m에 달하는 국보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고종 연간 러시아 연해주 일대를 그린 '아국여지도' 등을 고화질 이미지로 감상할 수 있다. 

특히 2022년 보물로 새롭게 지정된 태봉도 3점 중 '장조 태봉도'와 '헌종 태봉도'는 이번 전시를 통해 국민들에게 최초 공개된다. 

장조는 '사도세자'를 지칭하며 태봉도(胎封圖)는 임금이 태실을 만들어 태(태아를 싸고 있는 조직인 태반과 탯줄)를 안치한 태실의 형상과 그 주변 지형을 그린 것이다.

2부 '조선의 공신과 명가의 역사를 보존하다'에서는 유서 깊은 명가와 단체에서 장서각에 기탁한 자료 중 지정문화재로 등록된 공신교서와 공신화상을 중심으로 각종 고문서, 필첩, 전적 등을 소개한다. 

세계 유일의 원나라 법전 '지정조격'과 '기묘제현수필' 등 잘 알려진 자료들과 함께 2017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된 후 2022년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유묵 역시 최초 공개된다. 

3부 '민간의 희귀 전적을 구입하다'에서는 전문적 안목을 지닌 애서가로부터 구입한 자료 중 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다양한 불교 경전을 공개한다.

조선 전기 7차례의 대외정벌사를 기록한 장서각 유일본 '국조정토록'과 '직지심체요절'을 저본으로 간행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등이 대표적이다.

세계 유일의 원나라 법전 '지정조격'.[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온라인 전시만의 강점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장서각 기탁 자료들의 보존 처리 과정과 관련 자료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설명한 내용이 AI 음성과 함께 업로드 된다. 

또한 '동의보감', '월중도' 등 장서각 대표 자료 14점을 다각도로 촬영한 영상도 함께 제공되어 입체적으로 자료를 감상할 수 있다.

구자현 연구원은 "가로 길이 24m의 초대형 작품인 국보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40메가 이상의 용량으로 업로드 돼 있어 확대할 경우 글씨의 품격과 바탕인 비단의 결과 조직까지 감상할 수 있다"며 이번 온라인 전시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이십공신회맹축 보사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 - 保社功臣錄勳後)는 1680년(숙종 6년) 8월 30일에 개국공신 이래 여러 공신과 그 자손들을 모아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한 후 작성한 회맹축이다. 

여기서 '회맹제(會盟祭)'란 공훈이 있는 사람의 이름을 책에 써 올릴 때 임금과 신하가 모여서 서로 맹세하던 일을 지칭하며 '회맹축'의 축(軸)은 족자 형식의 자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종이나 비단 한 장으로 만들어진 자료 한쪽 끝에 말기 편하도록 끼워 놓은 것을 축이라고 하고, 그 축을 이용하여 완성된 자료들을 종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경택 기자 ktl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