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VOA
사진=VOA

북한의 위성 광명성 4호가 발사 7년 만에 지구로 낙하해 소멸됐다. 전문가들은 광명성 4호 같은 소형 위성은 대기권 진입시 완전히 불타 없어지기 때문에 민간에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지난 2016년 2월 7일에 발사한 광명성 4호 위성이 대기권 재진입 후 소멸된 것으로 확인됐다. 광명성 4호는 발사 이후 우주 궤도에 안착했지만 위성으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사실상 ‘죽은 위성’으로 분류됐다.

미 우주군사령부가 운영하는 전 세계 위성 정보 서비스 ‘스페이스-트랙(Space-Track.org)’에 따르면 ‘KMS-4’로 명명된 광명성 4호는 미 동부 시간 기준 3일 오후 3시 현재 ‘낙하 후 소멸’ 상태(Decayed status)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광명성 4호는 협정 세계시 기준으로 지난달 30일 대기권에 재진입한 뒤 소멸됐다. 그러나 정확한 재진입 시점 등 세부 자료를 공개되지 않았다.

VOA가 ‘스페이스-트랙’에서 광명성 4호처럼 최근 소멸된 다른 위성들의 자료를 살펴본 결과 대형 위성의 경우 재진입과 소멸 시점이 확인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광명성 4호처럼 소형 위성으로 분류된 경우에는 대부분 세부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다.

미 항공우주국(NASA, 나사)과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유럽 우주국(ESA)의 데이터를 토대로 국제 위성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엔투요(www.n2yo.com)’와 ‘오브트랙(www.orbtrack.org)‘, ’인더스카이(www.in-the-sky.org)’ 등에서도 광명성 4호는 현재 ‘낙하 후 소멸 상태‘로 더 이상 추적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VOA는 전했다.

이들 사이트는 광명성 4호가 지난달 29일에서 30일 사이에 궤도를 이탈해 대기권에 재진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조너선 맥도웰 박사는 3일 VOA에 “광명성 4호의 경우 너무 작은 위성이기 때문에 대기권 재진입 등 세부 사항을 추적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스페이스-트랙 측으로부터 들었다”며 작은 위성의 경우 재진입 자체도 항상 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마르코 랭브로크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도 VOA에 광명성 4호 같은 초소형 위성의 경우 소멸 시점이나 장소를 추적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낙하 속도와 궤도 움직임 등에 따른 대기권 재진입 예측에 따르면 협정 세계시(UTC)로 6월 30일 오전 4시쯤(한반도 시간 오후 1시) 대기권에 재진입해 동아시아나 미 대륙 또는 남극 상공에 낙하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광명성 4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대기권 재진입 시 완전히 불타 연소됐을 것이라면서 잔해가 낙하해 민간에 피해를 줄 가능성을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

맥도웰 박사는 “피해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잔해들은 대기권 상층부에서 전소될 것이며 화려한 불꽃쇼를 연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광명성 4호의 소멸로 이제 북한이 발사해 운영 중인 인공위성은 ‘광명성 3호 2호기’ 한 대만 남게 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