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주권 반환 26주년 기념일인 지난 1일. 홍콩에서 집회와 시위는 사라졌다. 이런 가운데 홍콩 행정수반은 국가안보를 적극 수호해야 한다면서 저항에 대한 경계를 강조했다.

지난 2020년 6월 30일 중국이 홍콩국가보안법을 제정한 이후 홍콩에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사라졌으며, 집회와 시위 역시 자취를 감췄다. 2일 홍콩프리프레스(HKFP)는 "7월 1일은 전통적으로 수천 혹은 수만 명이 다양한 요구와 불만을 거리에서 표출하는 날이었지만 올해는 1일 저녁 현재 아무런 시위가 열리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2003년부터 매년 7월 1일이면 민간인권전선이 빅토리아 파크에서 주최한 집회에 수많은 사람이 모였고 비정부기구(NGO) 수백곳이 참여했다"며 "그러나 2020년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후 당국은 코로나19를 이유로 민간인권전선의 집회를 불허했고 이후 민간인권전선 역시 압박 속에 해체했다"고 했다.

시민 집회가 사라진 빅토리아 파크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 친중 단체의 중국의 문화와 기술에 관한 전시회가 진행된다. HKFP는 "1일 오후 해당 행사장에는 사람이 많지 않았고 대부분의 방문객은 노년층이었다"며 "많은 방문객과 전시자들이 만다린(중국 표준어)을 구사했다"고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홍콩 시민은 HKFP에 "과거 우리는 주권 반환 기념일에 우리의 요구와 의견을 표출할 수 있었고 시민권을 향유했다"며 "그런데 지금은? 우리는 그저 풍경을 즐기고 사진을 찍을 뿐"이라고 했다.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은 전날 열린 주권 반환 26주년 기념식에서 "홍콩은 '약한 저항'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해서는 안 되며 국가 안보를 적극적으로 수호해야 한다"며 "홍콩은 중국의 평화로운 발전을 오판하는 일부 국가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표적이 되고 억압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약한 저항'의 수단을 활용하는 파괴적인 세력이 여전히 홍콩에 도사리고 있다. 우리는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되며 국가안보 수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 또한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충실히, 전적으로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7월 말 유엔 인권위원회가 홍콩국가보안법이 국제 협정에 어긋난다며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홍콩 정부는 '약한 저항'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하며 반박에 나섰다. 당시 홍콩 정부는 2019년 홍콩 반정부 시위 이후 대중을 급진화시킨 '약한 저항'의 행동과 '증오 발언과 출판' 등을 유엔 인권위가 참작해야 한다고 되레 반발했다.

크리스 탕 홍콩 보안장관은 지난 4월 입법회(의회)에서 "정부는 언론, 문화예술과 다른 '약한 저항'의 수단을 통해 중국과 홍콩 당국에 대한 증오를 선동하려는 외세의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1984년 영국·중국 공동선언(홍콩반환협정) 체결 이후 영국은 1997년 7월 1일부로 홍콩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했다. 중국은 50년 뒤인 2047년까지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에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를 시행하지 않는 등 고도의 자치와 집행권(행정권)을 보장한다고 했다. 하지만 영국, 미국 등 서방과 홍콩 민주 진영에서는 홍콩의 일국양제가 무너졌다고 비판하고 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