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크라전'으로 새로운 세계질서 도래
러,중,북한 vs 미국, EU, 한국 등 
나토, 사상 최대 규모 연합 군사훈련
핵기획그룹(NPG) 회의도 개최
EU, 김정은 '북-러 전략적 협조' 발언에 
“명백한 국제법 위반”
중립국 스웨덴, 핀란드 나토 가입 신청
독일 '사상 첫 국가안보전략' 채택

옌스 스톨텐베르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이 1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장관 회의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연합]

우크라이나의 반격이 본격화하고, 러시아가 강공으로 맞서며 양측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나토가 우크라에 대한 무기 지원을 재천명하고, 러시아는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 전선의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러-우크라 전쟁은 미국은 물론 유럽연합, 중국, 이란, 북한 등 전쟁 당사국 주변국들마저 긴장시키며 이합집산을 유도 '신냉전'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을 보여주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외신 보도에 따르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국방장관들은 15∼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 집결해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사무총장은 회의 하루 전인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우크라이나가 반격을 지속할 수 있는 무기와 군수품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이번 회의의 목표를 분명히 했다.

 “우크라이나가 더 많은 성과를 달성할수록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전장에서 이길 수 없고 평화 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나토는 이번 회원국 국방장관 회의에서 나토 핵기획그룹(NPG) 회의도 연다. 

이번 회의는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접경 국가인 벨라루스에 전술핵 무기 배치를 시작하는 등 상황이 비교적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에서 개최된다.

앞서 13일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벨라루스가 러시아 전술핵무기를 도입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 전술핵무기는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인 1945년 일본 히로시마나 나가사키에 투하한 핵폭탄보다 3배나 강력하다는 주장도 했다.

"100만명이 순식간에 숨질 것이다. 물론 이 무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13일 민스크 방산업체를 방문해 기자들을 향해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
14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국가안보전략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EPA연합]

 

지난 2019년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회담했다.[AP연합]

러시아의 핵무기가 해외에 배치되는 건 옛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가 진행한 해외 배치 핵무기의 국내 이전이 완료된 1996년 이후 27년 만이다.

이에 대해 한국과 미국, 유럽연합(EU), 우크라이나 등 44개국은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군축회의에서 러시아 전술핵 배치를 규탄했다. 

또 나토는 러시아가 보란 듯 31개 회원국 중 23국과 일본·스웨덴 등 총 25국이 참여하는 '에어 디펜더 23'을 진행 중이다. 에어 디펜더 23은 1949년 나토 창설 이후 최대 규모 연합 훈련이다. 

러-우크라 전선의 긴장감이 고조되며 독일연립정부는 14일 내년부터 방위비를 국내총생산(GDP)의 2% 수준까지 확대한다며 사상 첫 국가안보전략을 발표했다. 

[연합그래픽]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정부 합동기자회견에서 “바뀐 주변 정세 속에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이례적이고 중요한 전략”이라고 소개했다.

독일 뿐만이 아니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발발 직후 70년 넘게 중림노선을 지켜온 스웨덴과 핀란드도 즉각 나토에 가입을 신청, 주목받고 있다. 

또 유럽연합의 피터 스타노 EU 대변인은 이날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러시아에 축전을 보낸 것과 관련 "우리는 북한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 전쟁을 규탄하고 어떤 식으로든 러시아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지 말 것을 거듭 촉구한다"며 "침략자를 무장시키는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미국과 나토를 중심으로 뭉친 서유럽이 국제질서의 한축을 굳건히 만들어가고 있으며,  중국, 북한, 이란 등은 사실상 러시아의 편에 서 있어 소련의 붕괴로 시작된 '탈(脫)냉전'이 '신냉전'으로 접어들었음을 분명히 알려주고 있다.

지난 2월 유엔 총회에서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을 때도 러시아, 북한, 시리아, 벨라루스 등이 반대를 했고, 중국, 이란, 인도는 기권했다. 

여기에 중국은 현재 '대만 수복'을 공공연하게 떠들고 있어, '냉전 양상'이 더욱 확산될 여지도 크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