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1분위 무직자 가구 7.9%P↑ 5년 새 최대폭 증가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 이하 저소득층 가운데 무직자 가구(가구주가 무직) 비중이 최근 5년 새 최대폭으로 증가했다고 5일 보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최저임금 인상이 90%의 긍정 효과를 내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선 저소득층의 실직이 급격히 증가하며 서민들의 생계가 위협을 받고있다.

서울경제신문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4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2인 이상 가구에서 무직자 가구 비중은 57.0%로 전년(49.1%)보다 7.9%포인트 증가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 2.6%포인트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들 무직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1만5,000원으로 가구주가 일자리를 가진 취업자 가구 (151만4,000원)보다 40만원가량 낮았다.소득기반이 취약한 무직자 가구 비중이 늘면서 1분위 근로소득과 총소득도 급격히 쪼그라들었다. 1·4분기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13.3% 줄었다.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1분위의 전체 소득 증가율도 사상 최저인 -8.0%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무직자 가구 양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유지한 근로자는 임금 인상의 덕을 봤지만 반작용으로 실업자 역시 증가했다는 것이다. 최저임금 수준의 보수를 받는 근로자가 대부분인 음식숙박업·도소매업 등의 고용이 급감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생산성 향상 없이 최저임금을 급격히 올리면 취약계층부터 타격을 입는다"고 지적했다.

김민찬 기자 mkim@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