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7시 20분 이동 시작 
8시 54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 도착
누리호 기립 작업 11시 33분 완료
발사 하루전 준비 순조로워
최종 점검 오후 7시께 마무리
24일 오후 6시 24분 발사 예정 
방송3사 생중계 예정 
발사 1시간 30분 후 성공여부 발표
성공하면 누리호 상용화의 첫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를 하루 앞둔 23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누리호 발사대 기립 및 고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누리호 기립 작업은 11시 33분 완료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누리호는 24일 오후 6시24분 전남 고흥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연합 그래픽]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가 3차 발사가 하루앞으로 다가왔다. 

'3차 발사'가 앞선 두차례 발사와 다른 점은 연구나 시험 목적을 넘어 실제 활용될 실용위성이 처음 실리는 사실상 첫 번째 '실전 발사'라는 사실이다. 

앞선 두 차례 발사는 위성모사체를 실어 누리호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발사 성격이 컸다. 그러나 이번에는 진짜 우주 임무를 수행할 8기의 위성을 싣는다.

누리호는 예정일을 하루 앞둔 23일 발사대로 이동해 기립과정을 가친 후 최종 점검을 받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23일 오전 7시 20분부터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조립동에서 나와 발사대로 이동을 시작  오전 8시 54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에 도착했다. 

누리호는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시속 1.5㎞로 발사대까지 1시간 30분여 동안 1.8㎞를 이동했다.

이처럼 천천히 이동하는 것은 정밀 부품의 총집합 같은 누리호에 작은 충격도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누리호를 이송하는 차량은 무인특수이동차(트랜스포터)로 40개의 대형 바퀴가 달린 두 대의 트랜스포터를 동시에 작동해 이동시킨다. 

발사대에 도착하면 오전 중 하늘을 향해 기립하게 된다.

오후에는 누리호에 전력을 공급하고 연료와 산화제를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칼 케이블 연결과 추진제가 새지 않는지 확인하는 기밀 점검 등을 이어간다.

엄빌리컬은 누리호에 전기와 추진제를 공급하는 장치다. 누리호에 생명을 불어넣어 준다는 의미에서 ‘탯줄’이라고도 불린다.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이날 작업은 오후 7시 전에는 마무리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오후 8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기상과 발사준비상황 등을 점검한 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다음 날인 24일 오후 1시 30분 한 차례 더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최종 발사 시각을 정한다.

항우연이 계획한 발사 시간은 24일 오후 6시 24분이다. 발사 준비 과정에 따라 발사 시간은 전후 30분 정도 조절될 수 있다. 

발사 시간이 오후 6시 24분으로 정해진 것은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임무 수행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위성의 궤도를 태양동기궤도를 맞춰 태양광으로부터의 전력수급이 언제나 가능하게 했다. 

누리호의 비행시간은 총 18분 58초다.  발사 후 2분 5초가 지나면 고도 64.5㎞에서 1단을, 3분 54초 후에는 고도 204㎞에서 위성을 보호하는 페어링이 분리된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를 하루 앞둔 23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체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송되고 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23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누리호 발사대에서 기립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 4분 32초 뒤에는 고도 258㎞에서 2단이 분리돼 3단 엔진 가동이 시작된다.

이륙 후 13분 3초가 지나면 태양동기궤도인 고도 550㎞에 도착, 탑재 위성 사출이라는 누리호만의 임무가 시작된다.

탑재된 위성은 총중량 504kg의 실용 위성 8기다. 누리호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부터 시작해 20초 간격으로 위성을 우주로 내보낸다. 위성 사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총 2분 40초다.

영상레이다(SAR)가 탑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앞으로 2년간 근지구궤도 우주방사선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7기는 지구관측 및 우주방사능 측정, 우주쓰레기 경감 기술 실증, 근지구 우주공간 플라즈마 미세구조 변화 관측 등의 임무를 맡는다. 

항우연은 누리호가 발사된 뒤에도 계획한 대로 비행하는지 추적해야 한다. 

중국과 일본의 영공을 침하하지 않기 위해 누리호 1단은 전남 고흥에서 430㎞ 떨어진 일본 큐슈 서쪽에, 2단은 2804㎞ 떨어진 필리핀 동쪽 해역에 낙하한다. 

누리호 3단은 궤도를 돌다 다시 대기권으로 진입해 불타 사라진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정부 플랫폼 및 뉴스 채널 등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된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의 공식 유튜브 및 네이버TV 중계, 방송 3사 및 종편 3사의 생중계, 국립중앙과학관을 비롯한 과학관·천문대 등의 생중계도 진행될 예정이다.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여부 발표는 위성의 초기 교신 확인 후 발사 1시간 30분 쯤 후에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2021년 12월 21일 이뤄진 1차 발사는 1·2·3단 분리와 700㎞ 고도 도달까지는 성공했으나 3단부 엔진의 연소가 지나치게 짧아 질량 1.5t의 위성모사체를 목표 궤도에 안착시키는 최종 목표 달성에 이르지 못했다. 

2차발사는 지난해 6월 21일 이뤄졌고, 위성모사체를 목표 궤도에 안착시키면서 누리호가 지구 저궤도에 최대 1.9t까지 실어 나를 수 있음을 입증했다.

누리호 3차 발사가 최종 성공할 경우 지난해 자체 제작 로켓 발사의 성공에 이어 본격적으로 누리호 상용화의 첫 발을 떼게 된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