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향년 91세로 눈을 감았다.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 임상병원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이날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1931년 러시아 남서부 스타브로폴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국립대 법대를 졸업했다. 공산당에서 젊은 시절부터 출세 가도를 달린 그는 고령의 전임 서기장들이 줄줄이 노환으로 숨지자 1985년 54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선출됐다.

당시 전 세계 누구도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냉전 체제에 마침표를 찍을 주역이자 옛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마지막 지도자가 될 줄은 몰랐다.

하지만 그는 소련의 정치·경제 체제에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의 대외 정책의 근간으로 알려진 '마이 웨이(My way)' 독트린은 동구권 국가들이 더는 냉전 양극 체제의 한 축에만 종속되지 말고 알아서 제 살 길을 찾아가라는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들의 결집에 균열을 내는 것이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집권한 해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만났다. 1980년대는 이 두 지도자가 냉전을 해체해간 드라마틱한 역사였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을 체결하고,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던 군대를 철수하는 등 군비 감축에 나섰다.

또 1989년 동유럽 공산주의권 국가에 민주화 시위가 들끓자 이들 국가에 자유를 허용했다. 위성 국가들의 자유화 움직임에 무력 개입을 정당화했던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그해 11월 9일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그해 12월 몰타에서 조지 H.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과 역사적 담판을 거쳐 반세기 가까이 지속된 냉전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북방정책에 호응해 1990년 5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소련 정상으로서는 최초로 한국 정상과 만났다. 그해 9월 한국과 수교를 전격 단행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한국을 찾아 경제 개발과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서방에서 냉전 해체의 주역이자 평화 구축,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한 지도자로 매우 존경을 받았다. 199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 역사상 가장 의미있는 노벨평화상 수상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정작 러시아에서는 소련의 해체를 초래한 장본인이자 동구권을 서방에 넘겨준 '배신자'로 일컬어지기까지 했다.

소련의 초대 대통령에 올랐지만 1991년 8월 보수파의 쿠데타 이후 정상의 자리를 지키지 못했다. 이어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의 소련 해체 주도 소식에 그해 12월 사임을 발표했다. 이후 그는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으나 득표율은 미미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모스크바 외곽의 다차(러시아의 시골 저택)에서 여생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