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ICBM을 공개발사하고 있는 만큼 군사위성도 공개적으로 발사할 것”

북한의 미사일 개발 현황을 집중연구해온 미국과 독일의 전문가들은 정찰 위성 개발을 위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 공개된 사진의 해상도가 초보 수준이라는 이유로 지상과 미사일 간 자료 송수신이 이뤄졌다는 기술 진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언 월리엄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 부국장은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북한이 몇 가지 시스템을 시험하고 있을 수도 있다”며 특히 지난달 27일 발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지상과 미사일 사이의 통신”이라고 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군사 목표 중 하나로 제시했다. 지난 1월에는 노동당 회의에서 핵실험, ICBM 재개 모라토리엄(유예) 철회 검토를 시사했다. 북한은 지난달 27과 지난 5일의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발사가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나 정찰위성을 띄우려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해야 하고, 장거리 로켓은 탄두부의 재진입체만 교체하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전용할 수 있어 전문가들은 북한의 정찰위성 개발은 ICBM 도발 의지 및 명분 쌓기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미국 및 독일 전문가들은 “탄도미사일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했다는 사진의 조악한 해상도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위한 사전 포석 여부에만 관심이 집중되면서 정작 미사일에 내장된 ‘데이터 링크’ 체계 등 기술 진전을 간과하고 있다”며 “북한이 ‘정찰위성 개발용’이라는 명분으로 쏘아올린 탄도미사일과 관련해 지상과의 교신 역량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월리엄스 부국장은 “북한은 기본적으로 그들이 발사한 우주 발사체에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지상과) 통신을 주고받았으며, 미사일에 장착된 카메라를 회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종의 데이터 송수진이 이뤄진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며 당시 미사일 시험은 “우주 혹은 저궤도나 하위궤도에 오는 물체로부터 지상으로의 데이터 송신인 장거리 ‘하향 회선(downlink)’을 보여준 것으로 그 정도 궤도에서 그렇게 빠르게 움직이는 비행체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고 했다. 정찰 카메라가 찍은 자료를 송수신하고 지상에서 위성을 관제할 수 있는 체계를 시험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 프로그램 소장은 VOA에 “공개된 사진은 질적으로 매우 조악한 수준이며 그들이 과거에 내놨던 사진과 매우 비슷하다”며 “따라서 최근 발사에선 카메라 지원 시스템을 점검한 것이고 실제 우주 발사체에서는 훨씬 우수한 카메라가 장착될 것”이라고 했다.

독일 ST애널리틱스의 미사일 전문가 마커스 실러 박사도 VOA에 “사진이 ‘고해상도’인지는 논쟁거리가 될 수 있지만 북한은 한반도 사진을 찍어 이를 지구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며 지상과의 송수신 능력에 중점을 둔 시험으로 평가했다.

특히 “북한은 원하는 사진을 얻는 데 필요한 로켓의 ‘자세 제어(attitude control)’ 기술을 어느 정도 갖고 있다”며 “능동적인 자세 제어는 아니고 미사일의 비행 과정에서 카메라가 발사 지역을 돌아볼 수 있게 장착됐으며, 미사일이 마구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해 발사 장소인 한반도 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도록 했다”고 했다.

다만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김정은은 이미 내년쯤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할 것임을 분명히 한 만큼 이번 시험은 그 위성에 설치될 카메라를 작동시킬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분명하다”며 “미국과 다른 나라들이 했던 방식은 아니지만 북한은 이것이 무중력 상태에서 장비를 점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결론지었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이언 윌리엄스 부국장도 “자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과 최첨단 광학 장치를 갖추고 일정 기간 궤도에 머무는 탑재체(payload)를 개발한 뒤 우주 개발 회사나 정부 우주국과 계약을 통해 이를 궤도에 올리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며 “보통은 이런 작업을 위해 탄도미사일을 사용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북한은 이미 ICBM을 3차례 발사했고 다탄두 탑재 ICBM을 발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며 “북한은 ICBM을 공개발사하고 있는 만큼 군사위성도 공개적으로 발사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북한은 7일 북한의 위성이 “최고 지도부가 결심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우주 대공을 향해 날아오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북한이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연달아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을 진행했다며 “정찰위성의 운영은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언급된 국방공업발전을 위한 전략적 과업의 하나”라며 “국가우주개발국에서는 위성개발에 중점을 두고 최고지도부가 제시한 시간표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여왔다”고 했다.

이어 “조선을 첩보위성을 수없이 발사하여 세계 곳곳을 샅샅이 감시하고 있는 미국과 교전상태에 있다”며 “김정은 원수님께서는 우주 정복의 길은 단순한 과학의 길이기 전에 혁명의 길, 자주, 자립의 길이며 선대 수령들의 유훈 관철을 위한 투쟁, 평화와 자주권을 빼앗으려는 적대세력들과의 치열한 계급투쟁이라고 강조했다”고 했다.

또한 북한은 지난 6일 국제사회의 규탄과 우려에 대해 ‘거부감에 사로잡혀 판별 능력을 잃은 무지의 산물’이라며 반발했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홈페이지에 김설화 일본연구소 연구원 명의의 글을 싣고 “최근 일본 방위상은 우리가 진행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에 대해 ‘탄도미사일 발사’라고 하면서 ‘일본과 지역,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위반‘이라고 또다시 걸고 들었다”며 “이것은 명백히 우리 공화국에 대한 체질적인 거부감과 편견, 적대적 입장에 사로잡혀 초보적인 사물 판별 능력마저 잃은 무지와 몽매의 산물”이라고 비난했다.

연구원은 또 “이번 시험은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공정계획에 따라 진행했다”며 “우리가 무엇을 쏘아 올리든 일본은 우리의 주권과 내정에 속하는 문제에 대해 시비할 아무런 명분도, 자격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거듭 밝힌 바와 같이 우리의 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모든 조치들은 주변국가들의 안전에 조금도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