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김기식 전(前) 금융감독원장 의혹이 불거졌던 가운데 조선일보와 이 신문 계열 종편 TV조선이 의미있는 보도를 이어가며 눈길을 끌고 있다. TV조선은 민주당원 드루킹 김동원씨와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의 ‘연루설(說)’을 촉발시켰고, 다른 매체들도 관련 보도를 이어가며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의 이면을 파헤치고 있다.

조선일보 계열 종편인 ‘TV조선 뉴스7’이 ‘민주당원 댓글조작의 민주당 연루설(說)’의 포문을 열었다. TV조선은 14일 <댓글공작팀, 김경수 의원과 수백차례 ‘비밀문자’> 보도를 통해 댓글조작 혐의로 구속된 김모씨와 비밀메시지를 주고받은 것이 김경수 의원이라고 보도한 데 이어, 15일에는 <"김경수·드루킹 텔레그램 메시지엔 기사 제목·URL 있었다">, <'판도라 상자' 김경수·드루킹 대화록은 A4 용지 30장 육박>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14일과 15일에 연이어 ‘댓글조작 사건’으로 구속된 민주당원 3명 중 김모씨와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실과 관련해 집중보도하고 있다. 특히 15일에는 ‘뉴스7’에 내보낸 24건의 방송보도 중 15건을 ‘댓글조작’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이후에도 TV조선은 메인뉴스인 ‘뉴스9’를 통해서 심층보도를 이어갔다. 16일에는 <김경수, 靑에 드루킹 인사청탁 전달…靑은 추천 인물 만나>, <달라진 김경수 해명, "드루킹에 기사 URL 보냈을 수 있다">, <김경수 “드루킹과 파주서 만나...댓글 활동 관여는 안해”>, <‘드루킹 메시지’, 경찰의 설명에도 남는 의문점> 등을 통해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ㆍ경찰 등의 석연치않은 해명과 정황 등 드루킹과의 관계를 조명했다.

17일은 당일 방송된 26건의 보도 중 11건, 18일에도 23건 중 8건을 ‘댓글 조작’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었다. 17일과 18일, <드루킹 수사 제대로 될까? 경찰은 갈팡질팡, 검찰은 뒷짐>, <대선 당시에 '드루킹 무혐의'… 검찰·경찰은 서로 "네탓">, <백원우, '드루킹 추천인' 왜 만났나…"협박 때문" vs "인사 때문">, <[따져보니] 김경수의 달라진 해명, 1·2차 비교해보니>, <드루킹 “우리는 2016년 9월부터 문재인 도운 그룹>, <드루킹, 지난 대선 전 이미 ‘매크로 사용’ 암시했다>, <드루킹, 오프라인서 '경인선'으로 활동…김정숙 여사도 언급>, <與 법률단 추천 靑 행정관 후보는 '드루킹 변호인’>, <'드루킹 고발 취하 요청' 논란…"민주당이 요구" vs "드루킹인지 몰라“> 등을 보도하며 대선 당시 여론조작 정황 등 의혹에 대해서 정면 겨냥했다. 해소되지 않는 의혹들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다루었다.

이외에도 TV조선은 또한 사실상 ‘사이버 전쟁터’ 역할을 한 포털의 실태에 대해서 고발하고 나섰다.

<조작업체 “선거 지지율, 2000만원이면 조작 가능”>, <'경인선', 대선때 곳곳서 세 과시…온라인선 '댓글 전쟁’>, <'경공모' 회원 관리 실태 보니, 7단계의 철저한 계급사회>, <靑 "우리가 피해자"…野 "특검 안 되면 국회 보이콧>, <댓글 지령·공격은 현재진행형…1시간만에 '악플'> 보도 등을 통해 포털의 댓글을 통해 인위적이고 의도적으로 여론을 호도하는 온라인 댓글 실상을 고발했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신동욱 앵커는 ‘앵커의 시선: 여론 조작과 언론 자유’를 통해 “심지어 여당 대표까지 나서 수사와 언론의 정당한 취재 활동을 위축 시킬 수 있는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언론 기관 역시 이번 일이 얼마나 민감한 사인인지 잘 알고 있다. 언론도 지켜야 할 의무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또한 최근 ‘댓글조작 사건’ 관련 및 김 전 금감원장의 보도를 각기 매번 1면 등 주요면에 배치하며 비중있게 다루었다.

조선일보 기사 中 일부

16일 <댓글 기사 목록, 김경수에 보냈다>, <드루킹, 김경수 찾아가 오사카 총영사 인사청탁… 거절당해>, <드루킹, 체포 직전 대선 댓글 진짜 배후 알려줄까?>, <안희정·노회찬 초청해 강연 열고… 공동주최 행사엔 유시민 등 참석>, <댓글 공작 수사, 지난 대선 전후까지 확대>, <드루킹 문자만 수백개… 김경수는 자기 문자 지웠나>, <역공 나선 與… 이재명 나도 드루킹에 공격당해>

17일 <김경수 ‘드루킹의 인사추천’, 청와대 전달했다>, <경찰 의문의 3주… 드루킹 체포후 언론보도 전까지 침묵>, <서울청장, “김경수 문자 거의 안 봤다” 되풀이>, <드루킹 협박 뭐였기에… 청와대가 추천 인물 면접봤나>, <드루킹, 안철수 지지율 치솟을 때 文후보 지켜라 댓글작전 지시>, <무슨 돈으로… 인터넷카페 운영비 年11억, 휴대폰 170대>, <여당은 언론 탓만… 유출 경위 파악해야>, <“親文기자 나부랭이가 오사카 총영사 가면… 김경수 날려야죠”>

18일 <휴대폰 133개 핑퐁 … 몸사리는 檢·警>, <검찰, 작년 불법 선거운동 혐의 제대로 수사 안해 경찰, 두달 지나서야 드루킹 자금 출처 조사 착수>, <안철수의 분노...드루킹 댓글조작, 文캠프 지시 의심>, <구속된 드루킹의 반격? 잠갔던 블로그 오픈>, <드루킹 팀은 文캠프 사조직?… 인사청탁은 그 대가였나>

19일 <드루킹이 이끈 文후보 지원단체 ‘경인선’...김정숙 여사, 최소 두차례 경선장서 격려>, <무관하다더니...與, 대선후 野에 ‘드루킹 고발취하’ 요구>, <드루킹, 또다른 변호사를 靑행정관에 인사 청탁>, <드루킹 옥중편지 “이번 구속은 정치보복에 가깝다>

이외에도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서도 날카로운 논평을 이어갔다.

조선일보는 댓글조작 사건에 대해서 어물쩍 넘어가려는 행태를 견제하며 지속적으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당원이 "보수 세력이 한 것처럼" 댓글 조작, 배후는 없나>(4월 14일)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서 “민주당원 몇몇이 뜻이 맞아 이번 일을 꾸몄다는 경찰 수사 결과도 선뜻 믿기지 않는다”며 “검찰은 적폐 청산 수사를 하던 자세로 이번 사건의 배후가 없는지 파헤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증거인멸’ 시간 준 경찰과 덮은 검찰, 특검뿐이다>(4월 17일), <두 달간 숨기다 이제 年 11억원 댓글 자금 수사한다는 경찰>(4월 18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서는 “자금 출처 조사는 수사 기본 중의 기본인데, 두 달이 넘은 시점에서 착수한다는 것은 ‘민주당원’과 정권 실세 이름이 나오자 사건을 덮을 궁리를 한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며 정권 눈치보기식 수사를 지적하며 사건의 철저한 수사를 지속적으로 촉구했다. <金의원, 댓글 주모자와 대체 어떤 관계였나>(4월 17일) 사설을 통해서도 “지난 정권에서 누구라도 이랬다면 현 집권 세력은 바로 ‘권력 실세 비리 특검하자’고 했을 것이다”라며 일관된 대응을 강조했다. 19일에도 <대통령 부인까지 등장하기 시작한 ‘드루킹 게이트’>(4월 19일)에서는 “만약 지금 드러나는 정황대로 청와대와 민주당이 연계돼있다면 현 권력층의 위법이 된다. 국민은 이 정권이 전(前) 정권의 댓글 사건을 어떻게 다뤄왔는지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김경수 의원 관련 의혹 뿐만이 아니라 <김기식 전(前) 금융감독원장 논란 당시에도 논란에 대해서 주도적으로 집중조명했다. <金원장 거취, 선관위-檢 아닌 대통령과 본인이 결정할 문제>(4월 14일)에서는 “청와대가 김 원장에 대한 조사를 같은 참여연대 출신 민정수석에게 맡긴 것 자체가 잘못”이라며 “김원장 논란의 핵심은 과거 남에게는 엄격한 도덕성 잣대를 들이대더니 정작 본인은 다르게 행동한 이중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이외에도 <'반도체 노하우 공개' 고용부 폭주, 두 달간 먼 산 본 정부>(4월 16일), <정책 실패 교육부 장관, 그때마다 실무자 좌천>(4월 16일), <세월호 4주기,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4월 16일), <金 의원, 댓글 주모자와 대체 어떤 관계였나>(4월 17일), <김기식 발탁, 엉터리 검증, 비호했던 靑 책임져야>(4월 17일), <제 허물엔 눈감고 무조건 남 탓하는 정권의 오만>(4월 18일), <정부 부처끼리 국가핵심기술 공개 논란, 한마디로 어이없다>(4월 18일), <포스코 회장 사퇴 압박했다면 강요죄로 실형 선고받아야>(4월 19일), <경찰이 폭력시위 진압했다고 징역 살린다는 검찰>(4월 19일) 등의 사설을 내보내며 정부에 대한 견제기능을 이어갔다.

최근 공영방송인 KBS와 MBC에 민노총 산하의 언론노조 인물들이 포진하며 문재인 정권의 코드맞추기식 방송을 이어가거나 여러 의혹들에 대해서는 가볍게 전하고 있는 가운데 조선일보‧TV조선이 최근 추적보도를 비중있게 다루면서 국면 전환을 이끌어가는 모습이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