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리뷰(2018년 1월 1일)

●과거 보도 양상을 되돌아보며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최태원 SK회장 독대 관련]

2016년 말,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독대는 언론의 큰 관심을 받았다. 상당수 언론이 독대 자체에 대해 범죄시하며 특검 소환 및 대통령 조사가 불가피한 사항으로 부추겼다. 당시 거의 매일 대가성 공방에 대한 기사가 쏟아졌다.

<‘대통령 독대’ 기업 총수들, 진실 밝혀야 정경유착 끊는다> 등 독대는 정경유착이나 의혹으로 치부됐다. 무슨 대화가 오갔는지, 그쯤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등 모든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로 비틀어져 정경유착이라는 정점으로 이어지는 듯했다.

당시 독대를 집중적으로 문제시했던 한겨레신문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UAE 방문 논란에 대한 보도양상은 미진하다. 과거 박근혜 前정부의 발표에 대해서는 불신하며 진실 규명을 요구했던 반면, 1월 1일 보도에서는 UAE 관련 공방 발언만 전하며 의혹 규명에 대한 목소리는 미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의 통화내용을 빌려 역공 가능성에 주목하는 등 오히려 청와대의 입장을 비중있게 다뤘다.

조선일보는 <재계와 비밀 독대 범죄시하더니 새 정부도 똑같이 하나>라는 사설에서 청와대의 이중성을 지적했다. “'문 대통령·최 회장 회동' 보도에 대해서 '오보'라고 부인하며 법적 대응까지 시사한 것은 사실상 거짓말을 하려 한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솔직히 밝히면 끝날 UAE 의혹이 해를 넘긴다”는 말도 덧붙였다.

소통을 중시하겠다고 강조한 현 정부에서 여러번 상황 모면용 말바꾸기 식으로 대응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증폭된다. 일각에서는 드러난 것만 밝히고,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기식 소통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중앙일보 <임종석 UAE 방문 해명, 돌고 돌아 6번째는 “첫 브리핑과 똑같다”>와 서울신문 <계속 바뀐 靑 ‘UAE 해명’… 경제 보복설까지 키웠다>는 제목으로 제대로된 진실 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UAE 유사시 軍 지원’ 합참계획 바꾸려했다>는 보도를 통해 양국 군사 협력 갈등설에 대한 추가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 대북 이슈 및 한미관계 전망 지속적으로 다뤄야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에서 벗어나기 위해 은밀하게 중국및 러시아와 협력하며 물밑작업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 거래 및 군 라인 모두 물밑에서 가동되는 양상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북한의 평창 참가 여부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안보 관련 소식이 지속적으로 다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당수 신문은 ‘중·러, 대북 정유 밀거래를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이 연이어 포착됐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동아일보에서는 <“北과 유류 밀무역 없다” 펄쩍 뛰지만… 두번째 배도 ‘중국 흔적’>이라는 제목 하에 ‘이번에 적발된 선박 포함한 6척, 중국 반대로 블랙리스트서 빠져있다’는 내용과 러시아 국적의 선박이 북한에 정유제품을 공급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한편 좌파 성향 신문을 중심으로 평창 올림픽에 북한이 참여하면 평화가 보장된다는 식의 보도도 만만찮다. 한겨레신문은 <한미 연합훈련 중단과 북한 핵도발 중단>을 통해 평화적 장면 연출을 기대한다. 이를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대화 국면으로 들어선다는 기대도 있다.

한겨레신문은 3면에서 <북 올림픽 참가가 평화 신호인 이유...핵 미사일 실험 자연스레 ‘휴지기’...고위급 대표단과 남북 대화도 가능>이라고 밝히며 북한의 평창 참여를 평화 신호로 해석한다. 북한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밝힌 평창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는 일각의 이러한 기대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희망에만 기댄다는 비판이 고조된다. 평화적인 연출이 북한의 물밑작업을 중지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군사 훈련 등이 긴장상태를 조성한다는 비판도 존재하지만, 이는 기본적인 국내 안보를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과거부터 국내 외교안보 관련 이면합의에 집중관심을 가졌던 매체들이 북한의 양면전술은 고려하지 않는다면, 국내 잣대와 북한을 바라보는 잣대가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이다.

또한 무분별하게 북한과의 평화적 장면 연출에만 함몰된다면, 국제관계에 균열이 갈 수도 있다는 점도 다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일보는 "한미동맹 강하지만… 한국의 '3 NO'로 도전받고 있다"는 존 햄리 美 CSIS 소장과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또한 11면에서 <미국인 86% "북한은 심각한 위협" 58%는 "외교해법 안 통하면 무력 써야">는 보도를 통해 미국 내 북핵 위협에 대한 인식을 소개하기도 했다.

중앙일보는 전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를 지낸 에번스 리비어의 말을 빌려 한미 관계의 위험성을 예고했다. 에번스 리비어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개성공단 재개 땐 한·미 동맹 위기 불가피”하며 “국제적 대북압박 노력 훼손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 CIA 인사도 “안보리 결의 위반”라고 분명히 했다고 전한다.

더욱이 김정은은 신년사를 통해 “핵 단추가 내 사무실 책상 위에 항상 놓여있으며 미국 본토 전역이 우리 사정권 안에 있다”고 밝히는 등 북미 갈등은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 신년특집 여론조사 중점보도

각 언론사별로 지난 해를 마무리하는 성격의 여론조사와 새해 화두에 대한 가늠자 성격의 여론조사를 발표했다.

전반적으로 개헌·권력구조 개편 및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다수 언론은 개헌 필요성 공감 여론이 대체로 국민 절반 이상이 동의한다는 결과를 공개했다. 이외에 문 대통령 지지율, 적폐청산 지속여부, 대북지원지지 여부, 최우선 국정현안 순위, 現교육감 재신임 여부에 대한 여론조사가 이루어졌다.

다만 여론조사의 대부분이 그렇듯, 천 명 안팎의 대상자에서 응답률은 10퍼센트 내외인 경우가 많았으므로, 여론조사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그렇게 생각하는구나’라는 무분별한 수용보다는 화두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교해보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개헌의 경우, 언론 대다수는 대통령 4년 중임제·현행 5년 단임제의 변화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한겨레신문은 헌법전문에 5.18, 6월 항쟁 포함여부에 관심을 표출했다.

조선일보는 오직 ‘출산 및 육아 권장’ 어젠다를 중점 제시했다. “문정부 임기 끝나는 2022년, 출생아 年 30만명 선 붕괴” 문제 및 출산ㆍ육아의 행복 등 소개. 출산면을 23면에 따로 신설하는 등 ‘저출산 문제’ 안건 중요시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듯하다.

■ 시시비비

조선일보 사설, 정부가 원안위원장에 좌파 성향 인사 임명한 것 조명하며 원전 폐쇄로 밀고가는지 의문 제기.

▲[조선일보 사설] 원자력안전委가 '원자력폐지위' 되나.

정부, 원자력안전위원장에 강정민 미국 환경단체 '천연자원보호위(NRDC)' 선임연구위원을 임명. 정부가 원전에 적대적 인사를 원안위 책임자 자리에 앉혔다. 원안위 임무는 탈원전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원전을 운영하는 것을 전제로 가동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을 책임지는 기관이다. 원전 폐지를 신념으로 가진 사람이 원안위 위원장을 맡게 되면 사소한 기술적 문제에도 가동 중단이나 원전 폐쇄 쪽으로 밀고 나가려 할 가능성이 있다. 원전을 놓고 좌파 정치를 할 수 있다는 우려다.

■ 댓글로 보는 이슈

▲<한국일보> ‘진보교육감’ 서울ㆍ경기ㆍ부산 모두 교체 여론이 더 높아(7면)

진보 진영 교육감들이 ‘교육보다 정치에 관심있다’는 비판 / 교장공모제와 관련해서는 ‘역량보다 줄세우기식 제도’라는 비판 나와.

사진= 네이버 댓글 캡처
사진= 네이버 댓글 캡처

▲UAE 보도 관련

UAE 해명이 미진하다고 비판하는 측에서는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으며, 반대 진영측에서는 전 정권을 탓하는 댓글이 공감수가 많았다. 그 중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등 현 정권에 대해 진상규명을 요청하는 댓글들은 다수의 접기 요청을 통해 비공개 상태로 전환돼있으며, 댓글 공감 수에서 큰 차이가 나고 있다.

사진= 네이버 댓글 캡처
사진= 네이버 댓글 캡처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