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하향취업률 가파르게 상승

하향취업률 추이 (자료: 한국은행)

대졸자 취업자들 가운데 약 30%가 대학교 졸업장이 필요하지 않은 일자리를 구했다는 한국은행의 연구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눈을 낮춰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행 조사국의 오삼일 과장과 강달현 조사역은 22일 '하향취업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에서 "대졸 취업자 수 대비 하향취업자 수로 정의한 하향취업률이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증가하면서 최근엔 30%를 상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향취업이란 취업자의 학력이 일자리가 요구하는 학력보다 높은 경우를 뜻하며, 요구되는 학력에 걸맞은 일자리를 구하면 적정취업으로 간주한다. 연구진은 대졸취업자가 직업분류상 관리자, 전문가 및 사무종사자로 취업하면 적정취업으로 분류하고, 그 외 나머지 직업을 가지면 하향취업으로 분류했다.

연구진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하향취업률은 2000년 22∼23%에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으로 하향취업률이 큰 폭으로 증가한 이후 가파르게 상승해 올해 9월 30.5%까지 상승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배경에 대해 "고학력 일자리 수요가 대졸자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을 지적하며 "2000∼2018년 중 대졸자는 연평균 4.3% 증가한 반면 적정 일자리는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하향취업률은 청년층 외에 장년층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장년층이 은퇴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학 전공별 하향취업률은 의약·사범계열이 10% 이내로 낮았지만, 인문·사회, 예체능, 이공계열은 30% 내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취업자 중 85.6%는 1년 후에도 하향취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4.6%만 적정취업으로 전환했다. 또 하향취업자의 평균임금은 2004∼2018년 평균 177만원으로, 같은 기간 적정취업자 평균임금 284만원보다 38% 낮았다. 다만 보고서는 이같은 임금 차이에 대해 스스로 하향취업을 선택했을 가능성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보고서는 "하향취업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노동 공급 측면에서 직업교육을 강화하고 필요 이상의 고학력화 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며 "노동시장 제도를 개선해 직업 간 원활한 노동이동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