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공공비정규직 총파업...교직원으로 전환과 임금인상 요구
민주노총 19일까지 파업 계속...학교 비정규직 연대는 5일까지 파업한다는 방침
학생들 급식은 빵이나 떡으로 대체해
전학연 대표 "말도 안 되는 떼법 수용해선 안 돼"

비정규직 없는 세상 외치는 노동자들

급식조리원 및 돌봄전담사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6만여 명이 임금 인상과 교직원으로 전환 등의 처우개선을 요구하면서 3일 총파업에 들어갔다. 학생들의 급식을 담당하는 근로자들이 파업하면서 급식 중단 사태가 발생하는 등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날 민주노총(민노총) 산하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광화문 광장에 집회를 열고, “전국 약 1만4800곳 초·중·고교 및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급식조리원과 영양사, 돌봄교실 전담사 등 조합원 9만5000여 명 중 5만여 명이 파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이어 “총파업 참가자 수만 보면 2년(1만5000여 명) 전의 3.3배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파업에 참석한 이영란 민노총 대구지부장은 기자에게 “우리도 최소한 최저임금은 받아야 한다”라며 “일자리를 교직원으로 전환해 주겠다는 확실한 대답을 듣기 전까지 파업을 멈추지 않겠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17개 시도 교육청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섭을 촉구하면서 “지금 조합원들이 가진 분노가 어떻게 표출될지 모르는 상태로 이후 투쟁은 어떻게 전개될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아무도 없는 급식소 / 연합뉴스

한편 일선 학교의 급식실에선 적막감이 흘렀다. 평소라면 분주하게 배식이 이뤄지던 점심 풍경도 보이지 않았다. 사태를 우려한 몇몇 학부모들의 낯에는 우려의 기색이 역력했다. 그러나 학교 측은 아이들에게 빵과 찰떡 등을 나눠주었을 뿐 다른 조처를 취하지 못했다. 노조법 43조로 대체 인력 투입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서울에서는 1026개 초·중·고교 중 약 10%인 102곳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정상적으로 급식이 진행된 학교의 학부모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떠나 부모 입장에선 갑자기 파업하면 아이들 밥을 먹이는 데 불편함이 생길 수밖에 없다. 지난 2017년 6월 1차 파업 당시 초·중·고 1600여개교의 급식이 중단돼 학부모들은 이미 애를 먹었었다.

충북도는 학교 496곳 가운데 22.8%인 113곳에서 정상 급식이 어려울 것으로 파악했고, 광주에서는 253개교 중 132곳, 전남에서는 796개교 중 206곳에서 급식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나, 파업의 여파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이렇다 할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신 정상 급식이 어려운 학교는 간식류의 음식을 제공하고, 초등 돌봄 교실은 교직원과 파업 미참여 인원을 활용해 불편을 줄인다는 방침을 세웠다. 교육부 관계자는 “총파업 집회가 있는 3일에 급식·돌봄교실 등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4일과 5일은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낙관했다. 일손을 놓고 떠난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아이와 학부모들이 당장 입은 피해를 어떻게 보상해 주겠다는 말은 없었다.

이경자 전국학부모단체연합 대표
이경자 전국학부모단체연합 대표

한편,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등 40개 단체가 모인 전국학부모단체연합(전학연)은 이날 오전 광화문 역사 박물관 앞에서 맞불 집회를 열었다. 이경자 전학연 대표는 기자에게 “학교는 교육하는 곳인데 교육의 일부인 급식이 교육을 잡아먹고 있다”면서 “단체로 저질급식 먹이는 걸 교육이라 속이고 도입한 현 급식 체계는 또 하나의 사회주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 피해받는 건 결국 우리 아이들과 학부모들”이라며 “차라리 내 자식 점심은 부모들이 먹일 테니 이런 말도 안 되는 떼법에 굴복해선 안 된다”라고 밝혔다.

학비연대 파업은 5일까지 진행되며, 민노총이 공공연대노조 및 고용노동부 공무직 1800여 명을 동원한 동맹 파업은 19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안덕관 기자 adk2@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