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7일부터 이틀간 무역협상을 진행한다. 양국의 무역갈등으로 올해 경제에 미칠 파장이 최대 불확실성으로 떠오르면서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6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양국 협상단은 오는 7일부터 8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무역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협상은 미국이 지난달 1일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추가관세 부과를 90일간 미루겠다고 발표한 이후 이뤄지는 첫 번째 대면 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월 1일까지 합의가 도출되지 않으면 추가관세로 무역 전쟁을 재개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과의 협상에 대해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그는 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나는 정말로 중국이 무역합의를 원한다고 생각한다"며 "무역합의를 이룰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감을 내비치는 까닭은 중국의 경제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중국은 향후 경제 상황을 가늠하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위축을 뜻하는 50 미만으로 떨어졌고, 경제성장률도 지난해 3분기엔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6.5%로 떨어진 데 이어 4분기 성장률은 이보다 더 떨어졌을 것이란 예상이다.

중국은 지난달 1일 미국과의 회담 이후 합의를 실천한다며 여러 유화적 제스처를 보이고 있다. 40%에 이르는 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를 잠정 중단했고, 중국 국유회사들은 미국산 메주콩(대두) 구매에 나섰다. 또 외국인투자 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강제적 기술이전을 금지하는 외국인투자법 초안을 마련하고, 특허 침해 배상을 강화하는 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이같은 상황을 고려한다면 미국의 요구에 중국이 순응하는 쪽으로 회담이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한편으론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단순히 경제적 측면이 아닌 '글로벌 패권'을 놓고 벌이는 갈등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땐,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어떤 반격카드를 내세울지에 대한 관심도 집중된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통해 미국의 첨단산업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한 군사적 충돌에 있어 물러나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이 중국의 첨단산업 진출을 힘으로 찍어 누르려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로스 상무부 장관은 지난달 "우리는 중국이 첨단기술에 더 개입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다"며 "우리가 정말로 반대하는 것은 기술기밀을 훔치거나 기술이전을 강요하는 따위의 행태"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그는 "우리는 운동장이 평평하다면(경쟁조건이 공정하다면) 중국과 정면으로 맞서 경쟁하는 데 완전히 찬성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협상의 의제가 비관세장벽, 지식재산권, 농산물과 공산품 교역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 협상을 위해 미국 측에서는 부문별 차관급 실무 책임자가 대거 출동한다. 그레그 다우드 USTR 농업부문 협상대표, 데이비드 맬패스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길 캐플런 상무부 국제통상 담당 차관, 테드 매키니 농무부 통상·해외농업 담당 차관, 메리 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글로벌·아시아 경제 부문 국장이 협상단에 포함됐다.

중국 상무부는 협상의제를 명시하지 않은 채 정상회담 때 이룬 공동 인식 실천을 위해 긍정적, 건설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