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 '구조조정-해외이전'에 따른 일자리 붕괴

홍콩 금융인 허용학 퍼스트브리지 대표 [연합뉴스 제공]
홍콩 금융인 허용학 퍼스트브리지 대표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전쟁 등으로 중국의 경제 경착륙 경보등이 울리고 있는 가운데 올해 중국 경제의 진정한 문제는 중국 산업의 임박한 구조조정과 일자리 부족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허용학 퍼스트브리지 대표는 2일 연합뉴스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치르느라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양국 경제에 위기를 불러올 정도로 극단적으로 악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 대표는 JP모건 아시아 인수·합병(M&A) 대표, HSBC 아시아 투자은행(IB) 부문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홍콩의 중앙은행이자 국부펀드인 홍콩금융관리국(HKMA)의 대체투자 최고투자책임자(CIO)를 7년이나 맡은 금융인이다.

그는 "미국과 중국 모두 무역전쟁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양국 경제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재선을 원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국내 정치의 안정을 원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모두 이를 원하지 않으며, 일정 선에서 타협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대표는 지금 중국 경제가 안고 있는 최대 문제는 무역전쟁이 아닌 일자리라고 주장했다.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과 저부가가치 수출 제조업의 해외이전 등으로 중국 내 일자리가 부족해질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소득 불평등과 더불어 중국 사회에 상당한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허 대표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성장률은 올해 들어 마이너스로 돌아섰으며, 이는 과잉생산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함을 의미한다"며 "특히 허약한 체질을 지닌 국영 자동차 제조업체는 더는 구조조정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중국제일자동차그룹(FAW), 둥펑(東風), 충칭창안(重慶長安) 등 국영 자동차 기업들의 주도 아래 고성장을 누려왔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급감하는 등 침체에 빠져 있다.

허 대표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 국영 자동차 기업을 육성하려고 했던 나라는 예외 없이 실패했다"며 "자동차산업이 수만 개의 협력업체를 거느린 중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창출 산업이라는 점에서 국영 자동차 기업의 구조조정은 일자리 측면에서 상당한 파문을 불러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허 대표는 또 중국 내 저부가가치 수출 제조업체들이 최근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생산시설 이전을 서두르고 있어 일자리 문제는 올해 중국 정부의 최대 당면 과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더해 미중 무역전쟁 충격으로 중국 제조업을 비롯해 서비스업계까지 파상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단순 노무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12월 29~30일 파이낸셜타임스(FT) 주말판에선 무역전쟁 최전선에 내몰린 중국의 일용·단순 노무자들의 실상을 전했다.

이 신문은 광동성 선전(深圳) 공장단지의 싼허(三和) 인력시장은 중국 최대의 일용직 인력 시장 가운데 하나인데 공장 주문이 끊기자 일감도 덩달아 메말라 인부들이 일자리를 못 찾고 있는 모습을 보도했다.

조준경 기자 calebca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