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래차 전환 및 수출지원대책' 발표
내연기관 부품업계에 5조4000억
미래차 분야에 3조5000억
부품산업에최대 2%포인트 저금리 대출
2030년 전기차 생산규모 5배
현대자동차 등 국내 5개 완성차 제조사
부품업계와의 상생협력 공동 선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참여 기업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연합]
23일 오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차 전환 촉진을 위한 지원기관 업무협약 및 완성차사 상생협력 선언식에서 이창양 산업통산부 장관을 비롯한 협약 참여 기업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정부와 민간이 미래차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전기차 소프트웨어, 전장 부품 등 자동차 부품산업에 14조3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집중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날 부품업계 지원대책으로 ▲ 14조3000억원의 자금 지원 및 일감 확보 ▲ 핵심기술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및 미래차부품 특별법 제정 ▲ 자동차부품 수출확대 등 3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미래차 핵심 기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자동차부품 수출 확대, 글로벌 공급망 진입에도 정부와 완성차업체, 유관기관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그리고 부품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 14조3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그중 정부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8조9000억원을 공급한다. 특히 내연기관 부품업계를 대상으로 총 5조4000억원을 지원하고, 자율주행 등 미래차 분야에 3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시중은행을 통해 투자자금을 조달하는 부품기업을 위해서는 대출 이자를 최대 2%포인트(p)까지 낮춰주는 ‘저금리 대출상품’도 2500억원 규모로 운영할 방침이다.

또 자율주행과 친환경차 분야에 대해 2027년까지 2조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이와함께 오는 2030년까지 미래차 분야 인력소요 전망치(3만5000명)의 86%에 해당하는 3만명의 미래차 핵심 인력 육성에도 나선다. 

정부는 자금 지원과 일감 확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2대 주력 시장과 중동, 중국·일본, 아세안 등 3대 유망시장에 대한 자동차부품 수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정부의 지원 대책은 지난 3월 월간 국내 자동차 생산이 6년 만에 40만대를 돌파하고, 올해 1∼4월까지 완성차와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309억달러를 달성하는 등 자동차 산업 업황이 호조세를 보인 가운데 나왔다.

산업부는 올해 자동차 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인 8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한다.

이창양 산업부장관은  "올해 4월까지 자동차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올해 자동차·부품 수출은 사상 최초 800억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며 "민관이 합심해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소홀함 없이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자동차와 부품을 합한 수출액은 774억 달러를 넘으며 8년 만에 역대 최고 수출액을 경신했다. 자동차 수출액 541억달러, 자동차부품 수출액 233억2000만달러다.

올해엔 자동차 570억 달러, 자동차부품 240억 달러 등 역대 최대인 800억 달러 이상의 수출이 목표다. 올해 1~4월까지 자동차와 부품을 포함한 수출액도 역대 최고인 309억 달러를 달성했다. 

정부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달은 나아가 시스템 반도체, 대형 디스플레이, 탄소 복합재,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SW) 등 기타 첨단산업의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4월 누적 한국의 자동차 무역수지는 177억달러로 수출입 품목 중 1위를 기록했다.[연합 그래픽]

한편 이날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완성차 제조사 상생선언 및 8개 유관기관 합동 업무협약(MOU) 체결식'도 열렸다.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자동차, KG모빌리티 등 국내 5개 완성차 제조사는 부품 협력사의 유동성 확보 지원, 공동 기술개발 등 부품업계와의 상생협력을 강화할 것을 공동으로 선언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협력사의 원가·임금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보전하기 위해 공급망 안정화 기금, 2·3차 협력사를 위한 대출 보증, 공동투자 연구개발(R&D)기금 조성 등 상생 방안을 발표했다. 여기 투입되는 자금은 5조2000억원 규모다.

김경동 기자 weloveyou@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