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에도 강도 높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물가 상승은 예상보다 더뎠지만 임금 상승을 유발하는 노동시장 과열 현상이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물가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둔화하는 조짐이지만 임금 상승 압력이 여전해 투자자들이 낙관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까지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선 연준이 12월 FOMC 회의 후 내놓을 점도표(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에서 내년 기준금리 전망치를 종전 4.5∼5%에서 4.75%∼5.25%로 높일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 2일 발표된 미국의 지난달 고용 지표를 보면 11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폭이 전망치를 30% 이상 상회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망치의 두 배인 0.6%(전월 대비) 급등했다. 임금이 계속 오르면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위험이 커진다.

때문에 WSJ는 미 연준이 임금 상승세와 서비스 산업의 높은 물가 오름세를 고려해 기준금리를 5%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매파(통화긴축 선호) 위원들과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위원들 간 격론 끝에 내년 2월 금리인상폭이 0.5%포인트가 될지 0.25%포인트가 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는 오는 13∼14일 열린다.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이 유력하다. 만약 13일 발표 예정인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높게 나오면 연준이 다음 회의인 내년 2월에도 연속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밟을 수 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도 최근 브루킹스 연구소 연설에서 이같은 가능성을 암시했다. 그는 두 가지 대처 방안을 내놨다. 첫째는 금리를 5% 이상 수준으로 빠르게 올린 뒤 물가 진정이 확인되면 곧바로 금리 인하로 전환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천천히 금리를 올리면서 적정 수준을 조심스럽게 찾아간 뒤 높은 수준의 금리를 장기간 유지하는 방법이다.

파월 의장은 후자를 선호한다고 밝혀 비둘기파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니냔 기대를 낳았지만 최근 측근들에게 '인플레이션 억제에 실패하는 것이 더 큰 실수'라는 고민을 토로했다고 한다.

증권가에선 미 연준이 연속 빅스텝을 밟으면 내년초 미 증시는 예상보다 크게 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제로코로나 완화로 나아가는 중국 증시가 단기 수익을 올리는 데 더욱 주목할 만한 투자처라며 관련 분석들을 쏟아내고 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