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대 교수들이 한국 경제의 3대 핵심 리스크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공급망 교란,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發) 경제위기, 중국 경제의 경착륙 등을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4∼27일 수도권 대학의 상경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새 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 리스크를 묻는 질문에 이들이 발생 확률과 위험성을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발생 확률의 경우 '매우 높음'(4점·2년 내 발생률 40% 이상)과 '높음'(3점·30∼40%), '보통'(2점·20∼30%), '낮음'(1점·10∼20%) 중 하나를 고르고 위험성은 '매우 심각'(4점·GDP 감소율 2% 이상)과 '심각'(3점·1∼2%), '보통'(2점·0.5∼1%), '낮음'(1점·0.5% 미만)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고른 발생 확률 점수와 위험성 점수를 곱해 리스크 강도(Intensity)를 측정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이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를 발생 확률이 높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진단했다.

이들은 공급망 교란 대응책으로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업구조 개선'(16.5%), '해외자원개발 확대'(15.3%) 등을 제시했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도 발생확률이 높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치명적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 기조 유지'(28.5%), '고용 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 등을 제시했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발생 가능성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고른 대응 방안으로는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이 가장 많았고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 등이 뒤를 이었다.

리스크 강도(Intensity) 측정 결과, 이들 3대 핵심 리스크는 모두 강도가 9점으로 측정됐다.

강도 6점 수준의 리스크로는 '과거 오일쇼크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국가 온실가스 감축 부담으로 인한 제조업 위축' 등이 선택됐다. 

전경련 측은 "새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복합경제위기 상황 속에서 출범하게 됐다"며 "정책적 역량이 제한돼 있으므로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우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