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시장금리 상승이 예상되지만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율은 거의 8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금리 상승기에는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로 가계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최근에는 거꾸로 흐름이 나타나는 것이다.

3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서 고정금리 대출은 17.7%였다. 10월엔 20.7%였는데 한 달 새 3.0%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곧 신규 가계대출의 82.3%가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것이기도 하다. 금융권에서는 이 같이 높은 변동금리 비중에 대해 "2014년 1월(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라 지적한다.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까지만 해도 변동금리 비중은 연평균 53.0%에 불과했다. 2020년 초저금리 기조 속에서도 63.8% 수준으로 올랐다. 그러던 변동금리 비중이 불과 1∼2년 새 20∼30%포인트나 껑충 뛴 것이다.

한은이 1월 또는 2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시작으로 2∼3차례 기준금리를 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서도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비중이 오히려 커진다는 것은 분명히 대출자와 금융기관 모두에 위험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금융권에선 "금리 상승기에 고정금리 인기가 더 떨어지는 현상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이를 위험 신호라 간주하고 있다.

비교적 오랫동안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았고, 코로나19 사태로 저금리 기조가 2년 가까이 이어지며 "금리를 단기에 인상하는 일은 없을 것"이란 전망이 확산된 결과로 분석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 새로 대출을 신청하는 금융소비자는 혼합형(고정) 금리가 변동형 금리보다 유리하다"며 "더구나 올해 2∼3차례(0.5%∼0.75%p)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금리 인상에 대비해 고정금리 선택을 고려할만하다"고 말했다. 조건들을 꼼꼼히 따져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방법(대환대출)도 검토해볼만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