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역량 강화가 목적
삼성 등 업계 입장에서는 대미투자 압박일 수밖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출범 이후 세 번째로 반도체 대응 회의를 열었다. 삼성전자 등 업계 최일선 관계자들이 참석해 백악관과 반도체 수급 문제 등을 논의했다.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회의를 소집해 반도체칩 부족 사태와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생산 차질 사태 등을 점검했다. 삼성전자와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 인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제너럴 모터스, 포드, 다임러, BMW 등이 이날 회의에 참석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반도체 부족은 취임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최우선 순위가 돼 왔다"면서도 반도체 업계의 투명성 및 신뢰 증진 역시 논의 대상이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상무부가 참석 기업들에게 45일 내로 재고와 주문, 판매 등과 관련한 자발적 정보 제출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기업들은 미 정부의 기업 내부 정보 제출 요구에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상무부와 국무부는 반도체를 위시로 한 첨단기술 업체들에게 반도체 부족 사태 대응을 위한 투명성을 요구하는 것일 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로이터통신에 "상황이 더 나아지지 않고 있고 어떤 면에서 더 나빠지고 있다"면서 "더 공격적이 될 때"라고 말했다. 이어 "목표는 투명성 제고다. 병목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알아내고 문제가 무엇인지 예상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몬도 장관은 반도체 부족 사태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면서 "현실적으로 신속하고 쉬운 해결책은 없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우리가 반도체칩을 미국에서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국방물자생산법(DPA)까지 동원해 기업들을 통제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모두 DPA를 통해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제조에 속력을 낸 바 있다. DPA는 한국전쟁 시절 군수물자 생산을 위해 마련된 법이다.

방점은 미국이 장기적 목표로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역량 강화를 노골적을 꾀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 등 업계 입장에서는 미국 정부의 투자 압박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