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하자 또다시 ‘평화쇼’ 계획?

문재인 대통령이 6월 30일 청와대에서 유럽연합(EU)의 샤를 미셸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6월 30일 청와대에서 유럽연합(EU)의 샤를 미셸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의 대선 이전에 북미 간 다시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데 한국은 전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1일 밝혔다. 최근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하락하자 또다시 알맹이는 없는 ‘평화 쇼’를 기획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러나 미국과 북한은 문 대통령의 제안에 쉽게 응할 것으로 보이지 않아 이번 주선(?)은 청와대의 공상에 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전날 유럽연합(EU) 샤를 미셸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의 화상 정상회담에거 이같이 말했다고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기자들에게 전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북미 간 대화는 미북 정상회담을 의미한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그동안 어렵게 이룬 남북관계의 진전과 성과를 뒤로 돌릴 수는 없다는 것이 나의 확고한 의지”라며 “나는 인내심을 갖고 남북미 간 대화 모멘텀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EU가 남북미 대화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지지해주는 데 감사드린다”며 “북미 간 대화 노력에 있어 EU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미국이나 북한과 물밑에서 조율한 바가 있느냐’는 질문에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청와대와 백악관이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의 이런 생각은 미국 측에 전달됐으며, 미국 측도 공감하고 노력 중인 것으로 안다”고 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는 대선 전 미북 정상회담이 가능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9일(현지시간) 미국 대선이 있는 오는 11월 이전 미국과 북한이 추가로 정상회담을 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남아있는 시간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미친 어려움으로 인해 (미북 양측이) 직접 대면해 국제적인 정상회담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했다.

또한 존 볼튼 전 국가안보보좌관의 최근 회고록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9년 베트남 하노이 2차 미북정상 회담 이후 또다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미북 정상 간 만남을 주선하려고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3차 미북 정상회담이 있기 전에 북한이 핵무기를 제거하는 거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볼턴의 회고록에 따르면 북한은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이 결렬된 후 문 대통령을 외면하기 시작했으며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은 가동된 적도 없다.

북한은 최근 청와대를 겨냥해 노골적인 적개심과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달 13일 “확실하게 남조선 것들과 결별할 때가 된 듯하다”며 “머지않아 쓸모없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후 16일 북한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했다.

다음 날인 17일 장금철 통일전선부장 명의로 앞으로 남한과 교류나 협력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금철은 남북관계 파탄의 책임은 남한 대통령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온 민족과 세계 앞에서 한 북남선언과 합의를 휴지장으로 만든 장본인이 누구인데 도대체 그 책임을 누구보고 지란 말인가”라며 “우리는 지켜볼수록 혐오스럽고 께끈한 남측당국과 더는 마주앉고 싶은 생각이 없다. 그래서 북남사이의 접촉공간들을 없애버리는 일을 시작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 남조선당국과의 무슨 교류나 협력이란 있을 수 없다”며 “주고받을 말 자체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12일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2주년을 맞아 “우리는 다시는 아무런 대가도 없이 미국 집권자에게 치적선전감이라는 보따리를 던져주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공화국의 변함없는 전략적 목표는 미국의 장기적인 군사적 위협을 관리하기 위한 보다 확실한 힘을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