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부문 고용참사 3개월째 지속...30·40대 취업자 줄고, 60대 이상만 늘어
5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분석 결과...30대 취업자 수 감소세 지속
지난 3∼4월에는 40대 취업자 수 감소폭 심각 수준
"전체 제조업 일자리 줄고 있는 상황...기업, 고용부담으로 60대 이상 임시직 선호"

문재인 정부의 고용 참사가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심화되는 가운데 5월 제조업 부문에서 30대 구직자가 겪는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줄어든 5만 7천명으로 이중 절반이 넘는 2만9천명(50.9%)이 30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자 수 감소폭이 숙박·음식업과 교육서비스업 등 서비스업에서 줄어든 반면 제조업에서는 3개월째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제조업 종사 비중이 높아 '경제의 허리'로도 불리는 30대 취업자 수 감소가 확연했다. 5월 기준 30대가 2만9천명(50.9%) 줄었다. 이어 50대(-2만7천명), 20대(-2만3천명), 40대(-1만9천명), 15∼19세(-3천명) 순이었다.

반면 60대 이상의 제조업 취업자는 오히려 4만4천명 늘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3∼5월 연속 감소했다. 3∼4월에는 40대 취업자 수 감소폭이 두드러졌고 5월에는 30대 취업자 수 감소폭이 컸다. 제조업에서 30대뿐 아니라 40대도 고용 한파를 겪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 3∼4월 제조업 부문에서의 40대 취업자 수 감소폭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3월에는 제조업 취업자가 2만3천명 줄었는데 40대에서는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보다 많은 3만6천명이 감소했다.

4월에도 제조업 취업자가 4만4천명 줄었는데 40대에서는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보다 많은 5만1천명이 감소했다.

60대 이상 취업자 수만 3~4월에 각각 4만9천명, 5만3천명 늘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30·40대의 경우 제조업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감소폭도 크다. 최근 코로나19로 수출입이 원활하지 않아 자동차와 트레일러를 중심으로 제조업이 어려워지면서 감소폭이 커졌다”며 “인구 구조 변화로 해당 연령대 인구수 자체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제조업 상황이 어려워 추가 고용이 어렵고 일시적으로 휴직했던 사람들도 실업으로 이동하면서 제조업 주력 세대인 30·40대 취업자는 줄어든 반면, 연령대가 높은 60대 이상은 일시적인 형태의 일자리로 많이 유입되는 현상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고용 부담으로 30·40대 대신 60대 이상의 임시직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성 교수는 “제조업 종사 비중이 높고 가정경제의 핵심적 연령대인 30·40대의 사정이 나빠져 향후 소득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