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 공동제안국 참여않은 것 납득할 수 없다”
“文정부, 北정권의 범죄행위가 제재받지 않을 것이라는 잘못된 메시지 보내”
“文정권, 북한정권 인권 탄압 부추겨...오랫동안 고통받고 있는 북한주민들 배신”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 세계 22개 나라에서 활동하는 67개 단체와 10명의 국제인사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북한 인권 문제를 외면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8일 보도했다. 이들은 “한국 정부의 침묵과 관망은 북한정권의 인권 탄압을 더 부추기고, 진정한 평화 정착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문 정부의 북한인권 정책을 통렬하게 비판했다.

VOA에 따르면 국제인권연맹(FIDH),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휴먼 라이츠 워치 등 3대 국제 인권단체를 포함해 전 세계 300여개 단체를 대변하는 67개 비정부기구와 토마스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이양희 유엔 미얀마인권 특별보고관, 마르주끼 다루스만 전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소냐 비세르코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COI), 데이비드 앨튼 영국 상원의원 등 국제인사 10명이 16일 문재인 한국 대통령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서한에서 “문재인 정부가 최근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통과된 북한인권 결의안에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하지 않은 데 대해 납득할 수 없고, 지난달 북한 어민 2명을 정당한 절차 없이 북송한 데 대해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어 “남북대화와 평화 등을 이유로 인권문제에 침묵하는 문재인 정부의 전략은 북한정권에 그들의 범죄행위가 제재받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낼 위험이 있다”며 “평양은 남북대화를 대가로 남한 정부가 그들의 불법 행위를 눈감아 줄 것이라는 잘못된 인상을 받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대화와 인권 문제 비판은 상충하지 않는다”며 “대화와 문화 교류, 개발 사업 증진 만으로는 인권이 개선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뉴욕에 본부를 둔 휴먼 라이츠 워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담당 부국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그의 정부가 김정은을 달래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잘못된 노력으로 북한의 중대한 인권 탄압을 무시하고 있다”며 “이런 방식으로 문 정권은 오랫동안 고통받고 있는 북한주민들을 배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문재인 대통령은 이러한 혼란스러운 정책을 재평가하고 너무 늦기 전에 정책을 재고해 뒤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들 단체들은 서한에서 “평화 정착과 남북 협력 증진을 위해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모든 공적 논의를 배제해야 한다는 문재인 정권의 잘못된 가설이 걱정스럽다”며 “이런 접근은 최악의 인권 탄압에 책임이 있는 북한 수뇌부를 더욱 담대하게 만들 뿐”이라고 했다.

또한 이들 단체들은 서한에서 유엔 안보리가 2014~2017년까지 4년 연속 북한의 인권 상황을 논의한 것은 “이 문제가 역내 평화, 안보와 깊이 연관돼 있음을 보여 준다”며 “억압적인 인권상황을 대응할 때만이 한반도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안보리가 2년 연속 이 논의를 포기한 것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인권문제에 대한 침묵과 관망은 인권 탄압을 부추기는 결과만 낳을 뿐”이라고 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북한 어민 송환과 관련해 진상 조사와 결과 공개 ▲북한주민들의 기본권을 침해한 공직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통과된 북한인권 결의안이 총회에서 통과되기 전 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할 것 3가지 개선을 촉구했다.

또한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안보리 논의는 북한정권의 잔혹한 인권 탄압이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험이 된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며 안보리의 지속적 침묵에 한국정부가 실망하고 있음을 분명히 할 것을 촉구했다.

서한은 “북한정권이 인권에 대한 비판에 강하게 반발하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러나 북한정권의 협박에 굴복해서 침묵하는 것은 인권 상황 개선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제사회가 일관되고 단호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북한정권에 보낼 때만 북한 인권 상황의 장기적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공개서한에 동참한 미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VOA에 “100개국 184개 단체로 구성된 세계인권연맹(FIDH) 등 수많은 단체가 서한에 참여했다는 것을 한국 정부가 가볍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만약 우려될 만한 사건이 1~2개 정도였다면 이런 대규모 반응을 보이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만큼 세계 곳곳의 인권, 비정부 기구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도 이제 방향을 바꿀 때가 됐다는 의미”라고 역설했다.

세계기독교연대(CSW) 벤 로저스 동아시아 팀장은 “한반도 평화를 북한주민들의 존엄과 복지가 아닌 비핵화 입장으로만 본다면 압제와 반인도적 범죄는 지속되고 진정한 평화는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한국정부가 알기를 바란다”고 했다. 로저스 팀장은 “평화와 정의, 진실과 화해는 함께 가야 하는 것”이라며 “정의의 형태 없이 진정한 평화는 있을 수 없고, 북한주민들에게 지난 수십년 간 벌어졌던 진실을 인정하지 않고는 화해도 있을 수 없다”고 했다.

한편 청와대는 현재까지 이 서한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Letter to President Moon Jae-in RE: ROK’s stance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Show More Services

Print

Dear President Moon Jae-in,

We are writing on behalf of 67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coalitions, and ten individuals from 22 different countries from Asia, Africa, South and North America, and Europe, regarding your government’s increasing disengagement with ongoing human rights violations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First, we were baffl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not to co-sponsor a resolution on November 14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during a vote at the UN General Assembly (UNGA)’s Third Committee. Secondly, we are concerned about your government’s November 7 deportation of two North Korea fishermen accused of murder, despite the obli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to provide due process and to protect anyone who would be at substantial risk of torture or othe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after repatriation.

On November 15, the South Korean foreign ministry stated that the decision to drop the co-sponsorship was based on considerations of the overall circumstances in the Korean peninsula. While the ministry said the government’s concerns about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re unchanged, and vowed to “make efforts to substantially promote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of the DPRK,” it ad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ll do so “through [the promotion of]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Your government’s strategy, however, risks sending a message to North Korea’s government that their crimes will go unsanctioned, as Pyongyang might get the mistaken impression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willing to overlook their illicit behavior in exchange for increased willingness to engage in the inter-Korean dialogue.  There is no reason to let up on public criticism of human rights abuses.  Dialogue and public human rights criticism are not mutually exclusive. We note that the improvement in human rights protections cannot take place just with the promotion of dialogue, cultural exchanges or development projects. We are also concerned by an approach that wrongly assumes achieving peace or improving inter-Korean cooperation depends on avoiding all official discuss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Stepping back from these necessary human rights discussions will only embolden those in North Korea’s leadership who are responsible for the worst abuses. 

The UN Security Council debates in 2014, 2015, 2016 and 2017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abuses highlighted the intrinsic connection between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 and regional peace and security. The Council’s abandonment of these debates is a flawed approach since any durable solu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will require addressing Pyongyang’s repressive rights record.

On October 24, 2019, at the UN General Assembly,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omás Ojea-Quintana, urged states to explore avenues for constructive dialogue and at the same time to stop the sidelining of human rights concerns during negotiations. He noted that “integrating fundamental human rights into the current negotiations is crucial for the sustainability of any agreement for denuclearization and peace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beyond.”

We agree. In our view, silence and inaction on human rights only encourage abuses. We urge you to:

Re-join the list of co-sponsoring member states on the Third Committee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head of its expected passage later this month in a plenary meeting of the UN General Assembly.  

Take corrective action and guarantee South Korea will protect the right not to be returned to torture and other ill-treatmen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investigate the deportation of the two North Korean fishermen, publicize its findings and hold accountable the officials who violated the basic human rights of the two fishermen.

Underline your government’s disappointment with the UN Security Council’s ongoing silence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pointing out that debates in the council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to speak out about Pyongyang’s egregious abuses as a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We are aware that the DPRK considers human rights criticism confrontational. It has denounced the UNGA resolution as a “politically motivated reckless provocation,” and made other similar statements about the upcoming UN Security Council debate. Capitulating to North Korea’s bluster and keeping silent, however, will not encourage improvements in human rights conditions in North Korea. On the contrary, we believe the only way to ensure long term improvements is i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tinuously hears the same message about the need for change—the messag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never fully welcome North Korea unless  it commits to and implements human rights reforms and begins cooperating with all human rights mechanisms at the United Nations.

Thank you for your consideration. We would be pleased to discuss these matters further with your staff.

Sincerely,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