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시계OEM 수출 가장 많아...“안보리 제재 회피해 대체품 수출 늘려”

북한이 올해 1분기 중국으로부터 식량을 수입한 액수는 담배나 과일 수입액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7일 보도했다. 반면 이 기간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들여온 품목은 플라스틱과 인조필라멘트 등 인조섬유와 과일, 견과류 등으로 나타났다.

VOA가 국제무역센터(ITC)의 수출입 현황 자료를 살펴본 결과 북한은 올해 1분기 동안 밀가루 등 제분공업 생산품을 1644만 달러, 쌀 등 곡물을 180만 달러어치를 중국으로부터 사들였다. 제분공업 생산품과 곡물은 북한이 이 기간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전체 품목에서 각각 9번째와 46번째를 차지했다.

올해 1분기 북한의 전체 대중 수입액은 4억 5498만 달러다. 북한의 식량 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약 4%에 불과하다. 이는 전년도 같은 분기의 식량 수입액인 6.5%보다 2.5%p 줄어든 수치다.

특히 제분공업 생산품의 경우 지난해 1분기 2694만 달러어치를 수입한 것과 비교했을 때 액수로는 약 1천만 달러 이상, 비율로는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이 기간 중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들여온 품목은 플라스틱이었다. 이어 인조필라멘트 등 인조섬유, 과일, 견과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과 견과류의 경우 1분기 수입액이 2600만 달러를 차지해 전체 수입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를 넘었다.

특히 1월의 경우 북한에 유입된 과일의 종류가 명시돼 있다. 북한은 이달 총 939만 7000 달러 어치의 과일류 제품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했다. 이중 감귤이 548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과 299만 달러, 바나나 등 건조과일 39만 달러, 포도와 멜론이 각각 36만 달러와 13만 달러 어치가 중국에서 북한으로 수입됐다.

과일을 최근 북한이 수입을 큰 폭으로 늘린 품목 중 하나라고 VOA는 지적했다.

2016년 북한은 6775만 달러어치의 중국산 과일(견과류 포함)을 수입했다. 2017년 과일 수입액은 6373만 달러였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약 2천만 달러가 늘어난 8247만 달러어치 과일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했다.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크게 늘린 또 다른 제품은 담배다.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담배를 수입한 액수는 2016년에 1879만 달러, 2017년에는 3274만 달러였다. 그러나 지난해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담배의 총액을 6964만 달러였다. 불과 2년 만에 250%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올해 1분기 북한의 대중 담배 수입액은 1765만 달러로 제분공업 생산품에 대한 수입약보다 앞섰다.

브래들리 뱁슨 전 세계은행 고문은 북한의 이 같은 수입 구조를 식량난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뱁슨 전 고문은 VOA에 “현재 제기되고 있는 북한의 식량난은 가뭄으로 인한 북한의 봄철 작물에 대한 것이며 앞으로 몇 개월 후 수확시기가 되면 정확한 사정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며 “국제기구 등이 제기하는 북한의 식량난은 약 3개월 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지만 지난 4월말 기준으로 북한의 (식량) 가격도 큰 변동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앞서 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최근 공개한 ‘북한의 식량 안보 평가’ 보고서에서 북한의 식량난이 지난 10년 사이 최악이라며 국제사회의 긴급 지원을 촉구했다. 그러나 뱁슨 전 고문은 적어도 무역 통계와 북한 내 시장 가격 변화 등으로 볼 때 아직 식량난으로 보일만 한 조짐을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의 올해 1분기 대중 수입액은 전년도 대비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무역 적자폭이 더 커진 것이다. 지난해 1분기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물품의 총액은 4억 1396만 달러로 올해는 약 4천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북한의 대중 수출액은 지난해 1분기 6888만 달러에서 5323만 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북한이 이 기간 중국에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손목시계로 1812만 달러에 달했다.

올해 1월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약 685만 달러어치의 시계 ‘무브먼트’ 즉 조립이 완성된 손목시계의 동력 장치를 수출했다. 반면 북한은 이 기간 중국으로부터 약 826만 달러에 달하는 시계 부품을 수입했다.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부품을 들여와 완제품으로 돌려보내는 주문생산방식(OEM)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북한은 중국으로부터 섬유를 들여와 의류 완성품으로 만들어 판매했다. 그러나 2017년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섬유의 대북 수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의류 판매가 중단됐다.

대북제재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조지타운대 교수는 VOA에 “북한이 안보리 제재를 회피해 대체품 수출을 늘리고 있다”며 “시계가 수출입 제재 품목이 아니기 때문에 북한의 기업인 또는 국영기업이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북한은 대북제재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017년 2분기에 불과 2만 4000 달러어치의 시계제품을 중국으로 수출했다. 그러나 그해 4분기에는 169만 달러어치를 중국에 수출했다.

또한 지난해 1분기 북한의 대중 손목시계 수출은 424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4분기에 들러 1432만 달러에 달해 처음으로 1천만 달러를 넘어섰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