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학교 선택권 회복 위해 끝까지 싸운다”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공학연)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소위 ‘적폐’로 낙인찍힌 대표적인 우파 성향 시민단체 중 하나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공학연 사무실에 들이닥쳤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 여론 조작 관련자의 혐의 확인을 위한 증거 수집이 목적이었다.

이경자 상임대표와 이희범 사무총장의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지였다. 검찰은 이 대표의 서재를 포함한 집안 구석구석을 뒤져 컴퓨터 파일 400여개와 휴대폰을 압수했다가 그대로 돌려줬다. 연신 ‘죄송하게 됐다’는 인사도 덧붙였다.

공학연의 이경자 대표는 19년에 걸쳐 교육 운동에 매달려왔다. 이 대표는 “열심히 일하다 소위 ‘적폐’가 됐지만 활동을 후회하지 않는다‘며 ”더 열심히 목소리를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전교조’와 싸워 이긴 학부모 단체

공학연은 지난 2009년 9월17일 한국의 공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휘둘리는 학교, 학교 선택권이 없는 ‘억지’ 평준화 체제, 좌편향 교과서 시정, 급식 선택의 자유 보장 등이 당시 공학연이 지적한 문제의 핵심이다.

공학연은 창립 발기문에서 “교육이 교직 이기주의와 평등주의의 제물이 되어 깊은 늪에 빠졌다”며 “더 이상 구경하지 않고 교육 현안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고 제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공학연‧전학연의 활동자료 일부

창립 당시의 선언대로 공학연은 지난 10년간 쉬지 않고 달려왔다. 자립형 사립고 제도, 방과 후 수업, 사학법 개정, 교원 평가제, 대학 자율화, 기여 입학제, 영어 교육 활성화 등을 개선하기 위해 열심히 외쳤다. 매년 수많은 세미나를 열고 수많은 성명을 발표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전교조의 ‘법외 노조’ 통보가 나왔던 때다. 공학연은 전교조와 끊임없이 싸워온 대표적인 학부모 단체다.

(이경자 대표 제공)

전교조 추방 서명을 받기 위해 성실하게 거리에 나섰다. 만 3년을 단 한 주도 빠짐없이 매주 토요일마다 인사동에서 서명을 받았다. 그 결과 60만여 명의 서명을 받았고, 결국 고용노동부를 움직일 수 있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2년 10월23일 전교조에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함’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했다. 해직 교원이 조합원으로 가입한 전교조는 노동조합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였다.

●궁극적 목표는 ‘학교선택권’ 회복

오랫동안 교육 분야의 운동을 이어왔지만, 체감하는 변화는 크지 않다. 문재인 정권 들어 상황은 악화됐다. 무상급식으로 시작된 ‘무상 교육’ 시리즈가 확대되고 있고, 김상곤 교육부총리는 ‘평등’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전교조는 아예 정권의 힘에 기대 부활을 꿈꾸고 있다.

그럼에도 공학연 회원들은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는 생각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교육 분야에서 학부모와 학생의 교육 선택권 확대다. 교육 수요자이자 주인인 학생과 학부모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는 것이다. 학교는 물론 선생님, 급식까지 교육 공급자 사이의 경쟁이 살아나야 교육의 질이 올라갈 것이라는 게 대전제다.

이경자 대표는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발을 딛는 순간 경쟁이 시작되는데 학교에서 경쟁을 안 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 며 “평준화의 환상에서 깨어나 다양한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표는 또 ‘전국학부모교육시민단체연합(전학연)’ 활동에 많은 더 많은 학부모들이 참여하기를 독려했다. 전학연은 2016년 6월 ‘분산된 학부모의 목소리를 한 데 모아보자’는 취지로 새로 구성된 단체다.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 모임과 공교육 살리기 학부모연합, 미래를 여는 공정교육 모임 등 대표적인 학부모 단체가 대거 참여했다.

이 대표는 “엄마들이 나라를 바꿔야 한다”며 “아이들을 위한 교육 운동에 참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슬기 기자 s.l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