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200여권 남겨…국문학 연구 대가·수많은 제자 배출

1세대 문학평론가인 김윤식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25일 오후 7시 30분께 향년 82세로 별세했다.

26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고(故)김윤식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사진=연합뉴스)

고인은 평생 한국문학 역사를 연구하고 비평하면서 우리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근대문학에서 시작해 한국문학 연구의 현대적인 기틀을 닦아내는 학문적 성과를 이룩했다. 그가 쓴 학술서, 비평서, 산문집, 번역서 등 저서는 무려 200여 권에 달한다.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30여 년간 교편을 잡으며 내로라하는 국문학자, 문학평론가, 작가 등 수많은 문인을 배출했다.

1936년 경남 김해군 진영읍 사산리에서 태어난 고인은 일제강점기 말인 1943년 국민학교에 입학해 일본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 마산상고를 졸업한 뒤 교장 선생이 되라는 부친의 권유와 문학을 공부하겠다는 의지로 서울대 사범대 국어과에 입학했다.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68년 서울대 교양과정부 전임강사로 임용됐다. 이후 1975년 국문학과로 적을 옮겨 2001년 정년퇴직할 때까지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소설가 권여선, 김탁환, 문학평론가 서영채, 정홍수, 권성우, 류보선, 신수정 등이 그 제자들이다.
 

김윤식 서울대 명예교수가 지난 2010년 울산대학교에서 '한국현대소설읽기'를 주제로 특강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는 1962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한 뒤 수십년간 쉬지 않고 문예지에 발표된 거의 모든 소설 작품을 읽고 월평(月評·다달이 하는 비평)을 썼다. 젊은 평론가들에게도 벅찬 일을 80이 넘은 연로한 나이까지 해냈다. 특히 그는 오직 작품만으로 평을 쓴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그는 "작가는 누구의 자식이며 어디서 낳고 어느 골짜기의 물을 마셨는가를 문제 삼지 않기. 있는 것은 오직 작품뿐. 이 속에서 나는 시대의 감수성을 얻고자 했소. 내 자기의식의 싹이 배양되는 곳"이라고 글에서 밝힌 바 있다.

석사학위를 받은 직후부터 일제강점기 좌익 문인단체인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연구를 비롯해 한국 근대문학사 연구의 틀을 마련했다.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 '한국근대문학양식논고', '한국근대문학사상사' 등 연구서와 작가론 '이광수와 그의 시대', '염상섭 연구', '김동인 연구', '이상 연구', '임화 연구', '김동리와 그의 시대', '박경리와 토지' 등이 대표 저작이다.

2001년 9월 정년퇴임 강연에서는 "인간으로 태어나서 다행이었고 문학을 했기에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는 '갈 수 있고, 가야할 길, 가버린 길-어느 저능아의 심경고백'이란 제목의 이 강연에서 "문학 읽기는 한갓 여기(학문연구를 위한 보조수단)가 아니라 '길찾기'였던 만큼 필사적일 수 밖에 없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그는 200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됐으며, 예술원 문학분과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대한민국황조근정훈장(2001)과 은관문화훈장(2016)을 받았다. 이외에도 현대문학신인상, 한국문학 작가상, 대한민국문학상, 김환태평론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편운문학상, 요산문학상, 대산문학상, 만해대상(학술 부문), 청마문학상도 수상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다. 27일 오후 5시 장례식장 행사장에서 추모식을 하고, 28일 오전 7시 발인한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