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2분기 6134억원 순손실…올해 상반기 5652억원 손실
작년 상반기 6696억원 당기순이익과 대조적
한전도 탈원전 폐해로 2분기에 6871억원 영업손실 발생
한수원 이사회, 월성1호 조기폐쇄…5652억원 손실 일으켜

문재인 정부가 경제적이고 안전한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를 지양하겠다는 탈(脫)원전 에너지 정책을 고수하면서 한국전력에 이어 한국수력원자력까지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전력이 올해 2분기에 6871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13일 공시한 것에 이어 한전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도 14일 올해 2분기에 6134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이 6134억 원의 순손실은 분기 기준으로 한수원 설립 후 최대치다. 작년 상반기에는 669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것을 감안하면  1년 사이에 순이익이 1조1000억 원 정도 줄어든 것이다.

한수원의 막대한 순손실은 한전의 영업손실과 마찬가지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영향이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내세우면서 원전 가동률이 60%대로 떨어진 것이 한수원의 매출을 줄인 결정적인 이유였다.

또 친(親)정부 인사들이 포진한 한수원 이사회는 지난 6월에 멀쩡히 사용할 수 있는 월성 1호기를 '설계수명'이라는 법적 근거도 없는 용어로 조기 폐쇄한다고 결정하면서 올해 2분기에 5652억 원의 손실을 일으켰고 추가 건설 예정이던 원전들을 전면 백지화하면서 1630억 원의 영업외비용을 발생시키면서 총 7282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회사에 떠안겼다.

월성 1호기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검증을 통해 2022년까지 운영허가를 받아 둔 상태였고 운영허가는 2022년이 지나도 추가로 연장할 수 있기에 조기 폐쇄할 이유는 전혀 없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에너지정책이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의 유일한 명분이었다.

월성 1호기보다 앞서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는 박근혜 정권에서 운영 연장 신청을 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사안이었기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는 무관하다. 

작년 원전이용률은 71.2%였지만 올해 1분기에는 55%, 2분기에는 63%를 기록했다. 한수원은 원전이용률이 하락하면서 전력 판매가 줄어들어 매출은 올해 상반기에 작년 동기대비 20.5%, 영업이익은 75.9%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3조9656억 원, 영업이익은 2268억 원을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으로 한전에 이어 한수원까지 막대한 적자를 보고 있지만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적법하고 정당하게 지출된 비용에 대해서는 관게부처 협의 및 국회 심의를 거쳐 기금 등 여유 재원을 활용해 보전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상반기 원전 이용률이 낮은 것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원전 가동을 중지했기 때문이 아니라 과거에 건설한 원전에서 부실시공 등 문제가 발견돼 정비기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