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대변인 "방북단 규모도 합의기대…근거 없이 말하는 것 아냐"
靑인사 "조속추진 입장 불변"…8월 말 文방북 가능성도
"미국 쪽 반응에 대해 들은 바 없으나 긍정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청와대는 12일 “내일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4·27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했던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그리고 방북단의 규모 등이 합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기대한다는 언급이 단순한 기대이냐, 아니면 협상에 근거한 발언이냐'는 질문에 "근거 없이 말하는 게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김 대변인의 이런 발언에 따라 남북이 고위급회담을 하루 앞두고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의견 접근을 어느 정도 이루었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남북 당국은 12일에도 회담 합의 도출을 위해 실무 접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남북정상회담 장소는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대로 평양이 가능성 높게 거론되고 있다. 김 대변인은 '판문점선언을 거론하고 방북단이라고 한 게 평양 정상회담이라는 의미인가'라는 물음에 "제가 지난번 '평양이 기본이지만 평양만이라고 하기는 어렵다'는 취지의 말씀을 드렸는데 그것은 원론적인 말이다.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평양이 아닌 제3의 장소로 (언론이) 해석을 많이 해 부담스러웠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도 "(제3의 장소)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남북이 내일 논의하는 것이니 지켜봐달라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남북 당국은 고위급회담을 하루 앞둔 이 날에도 회담 합의 도출을 위해 실무 접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상회담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말씀드리는 것은 섣부르니 좀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달 말 회담이 잡힐 수 있다는 관측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정부는 조속한 남북정상회담 추진이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미국과도 사전 협의를 했느냐'는 말에는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선 거의 실시간으로 미국과 정보를 교환·협의하는 등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고, '미국도 남북정상회담 추진에 긍정적인가'라는 질문엔 "제가 미국 쪽 반응에 대해 들은 바 없으나 그럴 것으로 생각한다"며 낙관적으로 추정했다.

'북한 대표단에 철도·도로 등 경협 관련 인사들이 있는데 경협 진전이 더딘 데 대한 항의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철도·도로·삼림 분야에 대한 실무 협의가 상당한 정도로 진척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 쪽도 얼마든지 그에 대해 협의할 수 있다"며 "우리 대표단 4명 외에 실무 수행원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도 같이 가기에 현장에서 어떤 의제가 나와도 협의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이 고위급회담 대표단에 포함된 배경과 관련해서 "남 차장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동행하는 차관급으로서, 청와대의 관련 업무 담당자이고 비핵화 문제와 4·27 합의 내용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광복절 메시지에 남북정상회담 관련 내용이 포함될지에 대한 물음에는 "몇 가지 화두는 있고, 그에 대해 준비하고 있다"며 "지금 세세한 내용을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내일 정상회담 관련 합의가 이뤄지면 8·15 경축사에도 그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에 들어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 날짜와 관련, 김 대변인은 "확정된 것은 없으며, 17일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고 언급했다. 통일부는 17일에 연락사무소를 개소하자고 북측에 제안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달 개소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보류 중인 대북 800만 달러 지원 집행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 관계자가 "경제 또는 외교적 압박을 조기에 완화하는 것은 (비핵화)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줄어들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는 미국의소리(VOA) 보도와 관련, 김 대변인은 "국무부 대변인실 실무자 수준에서 나온 원론적 차원의 답변"이라며 "그것과 별개로 인도적 지원 문제에 대해 말을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해 9월 세계식량계획과 유니세프의 대북 인도주의 사업에 800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결정했지만, 북한의 도발로 여론이 악화돼 집행을 미뤄온 바 있다. 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6일 대북 인도적 지원에 관한 지침을 채택하면서 한국 정부의 지원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