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이후 2배 이상 늘어···한화로 약 9500조원에 달해

신흥국의 외화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보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완화적 통화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신흥국의 부채가 최대치에 도달한 것이다.

3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신흥국의 외화부채는 8조5000억달러(약 9500조원)에 달했다.

2008년 당시 신흥국 외화부채가 3조9000억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10년새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러한 부채 증가는 글로벌 금융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신흥국 외화부채 8조5000억달러 가운데 달러화 표시 부채가 76%를 차지했다.

센터가 국제금융협회(IIF)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화부채의 비중은 터키가 70%로 가장 높았다. 헝가리는 64%, 아르헨티나는 54%였으며 폴란드와 칠레도 각각 51%와 50%였다.

이런 현상은 아르헨티나의 페소화와 터키의 리리화 등 신흥국 통화 가치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과 맞물려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구제금융을 받기로 한 아르헨티나의 페소화는 올해 들어 미국 달러 대비 가치가 47% 추락했고 리라화도 28% 떨어졌다.

이는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취약 신흥국이 자본 이탈 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신흥국들의 상환압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그동안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저금리와 돈 풀기 정책이 지속되면서 자금이 신흥시장에 밀려들었고 외화부채도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신흥국들은 그동안 쌓인 채무를 연장하거나 상환해야 할 시기가 속속 도래하는 가운데 갚을 능력이 없으면 국가부도 사태로 이어질 수 있어 경제학자들 사이에선 경고의 목소리도 빈번하다.

국제금융센터는 각국의 외환보유액 대비 향후 3년간 달러화 부채 만기 비율을 고려하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터키 등의 외화 조달 압력이 특히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한국은 상환 능력이 견실한 수준이며 무역의존도에 비해 외화부채 비중이 적다고 평가했지만, 외화부채 비중은 GDP 대비 41%로 안심할 수만은 없는 수준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달러 강세 등으로 대외 조달 요건이 악화하고 글로벌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 외화부채 상환 부담이 큰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채무불이행 우려가 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