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전 정권 비난성 댓글 및 현 정권 지지·격려 글 많지만
문 정권 비판하는 댓글도 늘어...20~40대 사이에서 변화 양상.
'평창' '최저임금 인상' '부동산 대책' 등 회의적 입장 증가
문 정권 비판하는 댓글이 수천 개 이상 지지받기도.

지난 주 네이버 댓글을 살펴보면, 현 정권에 다소 우호적이었다고 알려진 네이버 댓글 여론이 비판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 댓글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미지에 대한 호감과 기대가 우세하게 나타났던 반면, 최근 댓글에는 정부의 행보에 대해 비판하는 댓글 비중이 증가했다.

소통에 방점을 둔 문 정부에 큰 기대를 걸었던 20~40대 층에게서도 실망이 나타나는 양상이다. 특히 정부는 평창올림픽을 통해 남북의 평화 단초를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둔 상태이지만, 무분별한 북한 감싸기식 분위기 연출에 대한 비판 여론이 대두됐다. 연합뉴스TV <북한에 출전권 내주라니…피겨 대표팀은 어리둥절> 보도에는 맹목적인 북한 위주 행보에 답답함과 냉소를 표출하는 댓글이 눈에 띈다. 우리나라 선수가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했던 노력보다는 정권의 '정치적 연출'이 우선이 되는 것에 대한 지적도 많았다. 

댓글은 총 7,075개(1월 7일 기준) 달렸으며, 20~40대가 80% 비율로 직접 댓글을 달았다. 댓글에는 '이건 아니다' '선수는 무슨 죄냐' 등 비판하는 댓글이 1만 여개가 넘는 추천을 받았으며 비추천 버튼도 300여개에 불과했다. 스포츠 채널과 같은 경우에는 20~30대 청년층이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만큼, 댓글을 단 사람 뿐만 아니라 추천을 한 사람들의 연령대는 20~30대의 비율이 더 높아질 확률도 있다.

 

<북한에 출전권 내주라니…피겨 대표팀은 어리둥절> 연합뉴스TV 2018.01.04 보도 (네이버 댓글 캡처)

 

'文정부에 대한 비판 의견'이 다른 기사에 비해 비추천이 많지 않은 이유는 스포츠 기사라는 점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는 특정 지지자들이 댓글 상황을 트위터로 공유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심을 갖고 추천/비추천을 유도하는 반면, 스포츠 파트는 미처 신경쓰지 못하는 청정구역이라는 것이다.

반면, 7일 연합뉴스에 보도되어 네이버에 노출된 <南조명균-北리선권 수석대표에 남북관계·체육전문가 포진>이라는 기사는 댓글은 찬반이 치열했다.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댓글에는 ‘네이버 댓글접기’를 통해 비활성화시켜 놓은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런 댓글들은 대체로 비추천이 4~500여개에 이르렀다. 반면 여전히 네이버에 노출된 다른 메인 기사에서는 평창 올림픽을 통해 ‘평화를 기원·지지한다’는 댓글이 압도적으로 지지를 받기도 했다.
 

<南조명균-北리선권 수석대표에 남북관계·체육전문가 포진> 연합뉴스 2018.01.07 보도 (네이버 댓글 캡처)

이와 같은 댓글 싸움도 오히려 문재인 정부가 비판받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받는다. 자칭 문꿀오소리라고 스스로를 일컬으며 무분별한 인신모독성 공격 또는 남탓을 통한 ‘제 식구감싸기’ ‘집단난타’식 태도에 대한 피로감과 반감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여러 네티즌들은 이런 양상에 대해 전 정권 당시 친정부 성격 댓글에 대해서는 '댓글 알바'라며 비판했던 반면, 자신들은 자발적인 참여라는 주장에 기반해 정당성을 스스로 부여하고, 친정부 댓글은 부각시키고 반정부 댓글은 공격하는 '이중잣대'에 대해서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현 정권에 비판적인 댓글은 네이버 댓글 접기 요청 등을 통해 가려지거나, 비추천 공세를 받기도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트위터를 통해 댓글 순위에서 우위를 점하도록 만들자는 메시지가 확산·공유되기도 했다.
 

트위터 유저가 사이트 주소를 공유하며 댓글 추천·비추천을 호소함(트위터 캡처)
트위터 유저가 사이트 주소를 공유하며 댓글 추천·비추천을 호소함(트위터 캡처)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신년 들어 '최저임금 인상' 및 '증여세 인상', '부동산 대책' 등 정부 정책에 대해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증가했다는 점이 주목받는다. 좀더 인간적이고 희망찰 것이라 기대했던 이상향과 달리, 실상 '약자 배려'라는 명분 하에 무분별하게 밀어붙이기식 정책으로 벌어지는 폐해를 겪으며, 문재인 정부의 복지 정책과 이상향에 대해 허구성을 느낀 것으로 분석된다.
 

(왼쪽)&lt;김동연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렵다고 종업원 해고 안 돼”&gt; 서울신문 2018.01.06 보도.(오른쪽)&lt;대학은 '알바 미화원' 고용, 경비원은 해고…최저임금 역설&gt; 중앙일보 2018.01.06 보도.
(왼쪽)<김동연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렵다고 종업원 해고 안 돼”> 서울신문 2018.01.06 보도.
(오른쪽)<대학은 '알바 미화원' 고용, 경비원은 해고…최저임금 역설> 중앙일보 2018.01.06 보도.

최저임금 관련, '일괄 최저임금 인상'으로 느끼는 부담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특히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렵다고 종업원 해고 안 돼"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탁상공론'이라며 정책을 비판하는 댓글이 추천 5~6천 개를 받았다. 해당 기사의 댓글 작성자의 비율은 전체 중 남성 81%, 20-30대는 50%를 차지했다. ‘해고도 안되고 가격인상도 안되면 그냥 접는 것 밖엔 답이 없다’ ‘적자 보면서 뭔 장사를 하라는 거냐’는 볼멘 소리가 나왔다. '공무원 늘리는게 일자리 늘리는건지 의심스럽다'며 나중에 '국민연금 받을 수 있을런지 모르겠다', '연금도 세금으로 메꿔야 되는 현실'을 지적하는 댓글이 상위권에 꼽혔다.
또한 경제적 자립 장려보다는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양상이나 반시장주의적 행태, 친북 행보에 대한 비판이 다수 추천받기도 했다. 증여세와 관련해서는 정부 사람들이 다주택자 아니냐는 정부의 모순적 행태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기도 했다.

 

&lt;불평등 원인 1위는 '부모 세대로부터 상속·증여' 꼽아&gt; 중앙SUNDAY 2018.01.07 보도(네이버 댓글 캡처)
<불평등 원인 1위는 '부모 세대로부터 상속·증여' 꼽아> 중앙SUNDAY 2018.01.07 보도(네이버 댓글 캡처)

 

<다주택자 돈줄 묶는 새DTI 이달말 도입된다…31일 시행 유력> 연합뉴스 2018.01.07 보도. (네이버 댓글 캡처)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