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원장직 제안 오면 맡겠느냐' 언론 질문에 "딱 잘라 덮을수 있겠나"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사진=연합뉴스)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사진=연합뉴스)

노무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냈으면서도, 박근혜 정부 말기 '거국내각 총리'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던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가 최근 자유한국당에서 비상대책위원장직에 대한 긍정적 의사를 밝혔다고 29일 한 언론이 보도했다.

29일 CBS노컷뉴스는 따르면 김병준 교수가 비대위원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노무현 정부 출신으로 계파색이 상대적으로 옅은 데다가, 정책통(通)으로서 경제·정책정당화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 등이 원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김 교수는 앞서 올해 초 한국당 2기 혁신위원회에서 주최한 '제1차 신(新)보수주의 국가개혁 심포지엄'에 참석해 문재인 정부에서 노골화한 '국가주의적' 정책을 경계하는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서울시장 후보군 중 한명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는 이날 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의원들 한두 분이 와서 만났다"면서도 "지금도 당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연락이 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비대위원장직 공식 제안이 오면 맡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는 "정말 답답한 현실 아닌가. 국가에서 녹을 먹고, 미래에 대해 걱정도 하는 사람이 단순히 한국당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당의 문제라고 하더라도 '같이 고민하자'면 고민해야 할 판"이라며 "딱 잘라 덮어버릴 수 있겠느냐"고 답변했다고 한다.

사실상 비대위원장직 수락 의사가 있음을 내비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너무나 힘든 일이고, 고통스런 일이기 때문에 다른 훌륭한 사람이 이런 일을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김 교수는 보수 재건의 핵심과제로 경제·안보 노선의 재설정을 언급하며 "기존의 보수라고 얘기하는 분들이 고민이 부족했고, 그런 과정에서 역사의 흐름을 놓쳐버렸다. 그 흐름에 맞는 새로운 깃발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경제문제와 관련해 "진보는 어찌됐든 간에 상생 등의 가치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보수는 박정희 시대 때의 경제 성장 이후 그런 것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성장에만 치중했던 기존 노선에서 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기본적으로 시장이나 공동체가 자율 체계를 확립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본다. 말하자면 국가가 일일이 간섭하기보다는 시장 안에서 자율적인 시스템이 작동했을 때 생동감 있고, 창의적인 것들이 만들어진다"며 "문제는 시장 안에서 할 수 없는 게 있다. 사회 불균형을 맞추는 문제, 복지 등은 시장이 할 수 없는 것 아닌가. 국가는 그런 것을 보충적으로 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도대체 무엇을 보수라고 하는지조차도 불분명해졌다"며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가 뭔지 분명히 하는 작업들을 정당이 힘들면 외부에서라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했다. 

김 교수는 특히 "(선거 참패) 잘못은 모두에게 있고, 단순히 정치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담론의 수준 자체가 낮은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며 "그런 큰 문제를 큰 틀에서 보자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경북 고령 출신인 김 교수는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실장과 대통령 정책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대구경북(TK) 출신에 노무현 정부 핵심인사였다는 강점을 갖고 있는 셈이다. 

때문에 '최순실 국정개입 의혹'이 확산됐을 때도 국민의당과 새누리당(한국당의 전신) 등 여야를 막론하고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됐다. 비슷한 시기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김 교수에게 책임총리를 맡기고 2선 후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당시 야당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계파색이 옅은 것은 물론 '정치에 물들지 않은 사람'이라는 평가도 있다. 김성태 한국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의 비대위 구상을 둘러싸고 계파갈등이 그칠줄 모르는 가운데, '화합형 비대위원장'으로 고려할 만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한국당 혁신비대위 준비위는 준비위는 내주 주말까지 비대위원장 후보를 5~6명으로 압축하겠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후보로는 김 교수 외에도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 김황식 전 총리, 박관용·김형오 전 국회의장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기호 기자 rlghdlfqj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