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같은 달 대비 신생아 수 감소 현상 29월째 이어져
지난해 신생아 수 사상 처음 40만 명 안돼...올해 33만 명 전망

정부가 저출산 문제 해결에 해마다 수십조원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지만 저출산 문제는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전년(前年) 같은 달에 비해 신생아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29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4월에 태어난 신생아 수가 4월 기준 사상 처음으로 3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태어난 신생아 수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8.9% 감소한 2만7700명으로 집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도 11만7300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1% 감소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올해 신생아 수는 33만 명 안팎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신생아 수는 사상 처음으로 40만 명보다 적은 약 35만8000명을 기록하며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가임 기간에 낳는 아이 수)도 1.05명까지 떨어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올 들어 1~4월까지 신생아 수가 늘어난 곳은 세종시가 유일했으며, 강원도가 작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감소했다. 대전이 -17.5%로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서울(-12.7%), 울산(-11.8%), 전남(-10.9%) 등 순이었다.

최근 신생아 수가 갈수록 줄어드는 주요 이유는 아이를 가장 많이 낳는 30대 초반 인구가 급감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해마다 수십조원의 예산을 쓰며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2018년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행계획’에 따르면 올해 저출산 예산은 전년대비 9.1% 늘어난 26조3189억원이다. 하지만 통계청이 연도별 같은 달끼리 비교한 출생아 수는 작년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12개월 연속 역대 최저기록을 경신해 저출산 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월 사망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9% 늘어난 2만4000명을 기록했다. 1~4월 기준 사망자 수도 지난해 동기 대비 10% 늘어난 10만5800명으로 집계됐다. 4월 혼인 건수는 1년 전에 비해 2.5% 증가한 2만600건으로 집계됐지만 1~4월 누적 기준으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감소한 8만6800건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최악의 저출산과 가파른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수 증가가 맞물리면서 우리나라 총인구가 자연 감소 국면에 진입할 시기가 당초 예상인 2027년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