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민 아들' 주목 불구 취임 2년차까지 6.25 행사 李총리 주관…SNS 메시지도 '無'
관례상 6.25 당일 행사 대신 참석하던 참전유공자 위로연도 닷새 전 李총리가 주재
朴대통령 시절엔 참전유공자 위로연 매해 참석, 6.25 당일 국무회의·안보일정 소화
李대통령도 관례 따르다 6.25 60주년인 2010년 행사엔 직접 참석…DJ 50주년 참석 전례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8주년 6·25전쟁 기념식에서 참석자들과 6·25의 노래를 제창하고 있다. 왼쪽부터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이근순 6.25여군회장, 이낙연 총리, 박희모 6.25참전유공자회장, 송영무 국방장관,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사진=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8주년 6·25전쟁 기념식에서 참석자들과 6·25의 노래를 제창하고 있다. 왼쪽부터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이근순 6.25여군회장, 이낙연 총리, 박희모 6.25참전유공자회장, 송영무 국방장관,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사진=연합뉴스)

'피난민 아들' 출신임을 강조하던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6.25 전쟁 정부 기념행사에 불참했다. 취임 첫해인 지난해 6.25 제67주년 계기로는 '침략 주체가 없는' 페이스북 기념사를 냈지만, 올해 68주년에는 이렇다 할 입장문조차 내놓지 않았다.

특히 대통령이 관례적으로 6.25에 임박할 즈음 기념식 대신 참석해 온 국군 및 유엔군 참전유공자 위로연에도 문 대통령은 올해 불참했다. 

25일 오전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6·25 전쟁 68주년 행사에는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과, 정치권 여야 지도부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낙연 총리는 지난해에 이어 기념식을 주관하면서, 북한인권·핵 문제 등 대북 비판의 톤은 한껏 낮추고 정부의 보훈 정책과 한반도 평화를 강조했다.

전날(24일) 러시아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문 대통령은 이날 별도의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6.25 기념행사 불참을 대신할 만한 일정은 공지되지 않았고, 별도의 기념사도 나오지 않았다.

지난해 6.25 기념 행사에도 문 대통령은 불참했지만 당시 청와대는 "6.25 행사는 역대부터 국무총리가 주관해 왔다. 그래서 이전 대통령들도 참석하지 않았다. 관례대로 한 것"이라는 해명을 내놓은 바 있다. 6.25 67주년에 이틀 앞서 문 대통령은 참전유공자 위로연에 참석하기도 했다.

또 당시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6.25 전쟁은 아픈 역사다. 한반도 땅 대부분이 전쟁의 참상을 겪었고 수백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했다. 분단의 상처와 이산가족의 아픔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면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굳건히 지키고 전쟁 걱정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드는 일, 그리하여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것이 6.25 참전용사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했었다.

북한의 기습 남침이라는 기초적인 사실관계 없이 '전쟁의 참상'만 부각시키고, 정권발 구호인 '평화로운 한반도'를 지향가치로 내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올해 6.25 68주년 계기로는 문 대통령의 참전유공자 위로연 참석도, 6.25 당일 메시지도 없었다. 위로연은 무려 닷새 앞인 지난 20일 이 총리 주최로 열렸을 뿐이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군 통수권자이자 국가원수로서의 역할을 다 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6월2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보훈단체장과 국내외 참전용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6·25 전쟁참전유공자 위로연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6월2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보훈단체장과 국내외 참전용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6·25 전쟁참전유공자 위로연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임 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2016년 4년 연속 6.25를 하루 또는 이틀 앞두고 참전유공자 위로연에 직접 참석해 ▲6.25 전쟁을 정확하게 알릴 역사교육 ▲국군·유엔군 참전용사 유해 발굴 사업 노력 ▲튼튼한 안보와 한미동맹 바탕 대북 압박 ▲북핵 불용 원칙 등 안보 메시지를 낸 바 있다.

6.25 당일에도 손 놓고 있지 않았다. 청와대에서 6.25 계기 국무회의를 주재하거나, 오후 중 안보 테마 문화행사에 참석하는 등 행보를 보였다.

전전임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 비슷한 패턴으로 6.25 기념 안보 행보를 보였으며, 8년 전인 2010년에는 전쟁 발발 60주년이라는 의미가 가중돼 당일 기념 행사에 직접 참석했다. 2000년 전쟁 50주년 때는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직접 6.25 기념행사에 자리한 선례도 있다.

문 대통령의 잇따른 6·25 기념식 불참을 두고 일각에서는 "그간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과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해온 것과 대조된다"며 "형평성 차원에서 균형감이 떨어진 행보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6.10 민주항쟁 31주년 기념사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발표한 바 있다. 

한기호 기자 rlghdlfqj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