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런던, 파리, LA 등 해외 대도시보다 서울이 2배 이상 더 높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만3천여 도시 중 서울이 최대

서울의 연평균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일본 도쿄,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 외국 대도시 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만3천여 도시 중 서울이 최대 배출 도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작년 파리의 연평균 미세먼지는 21㎍/㎥, 초미세먼지는 14㎍/㎥, 미국 로스앤젤레스(LA)는 각각 33㎍/㎥, 14.8㎍/㎥인데 반해 서울의 연평균 미세먼지 수치는 44㎍/㎥, 초미세먼지 수치는 25㎍/㎥였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 물질인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먼지 지름 차이로 구분된다.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면 미세먼지, 2.5㎛ 이하면 초미세먼지다. ㎛는 1㎜의 1천분의 1이다.

과학원은 매년 서울과 도쿄, 런던, 파리, LA의 연평균 미세먼지 수준을 비교한다. 지난해 도쿄와 런던의 연평균 수치는 해당국 정부가 아직 집계하지 않았다.

2016년 통계를 보면 서울의 미세먼지 실태를 해외 주요 도시와 쉽게 비교할 수 있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연평균 미세먼지는 48㎍/㎥, 초미세먼지는 26㎍/㎥였다.

같은 기간 도쿄는 각각 17㎍/㎥, 12.6㎍/㎥로 서울의 절반이 안 된다. 런던은 각각 20㎍/㎥, 12㎍/㎥로 역시 서울의 절반 미만이고 파리는 22㎍/㎥, 14㎍/㎥, LA는 34㎍/㎥, 12㎍/㎥로 서울의 절반 수준이다.

이처럼 서울의 미세먼지 수준이 세계 주요 도시보다 나쁜 것은 중국과 국내 요인이 합쳐진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7월 발표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합동으로 수행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결과에 따르면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측정한 미세먼지의 경우 국내 요인이 52%, 국외 요인은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영향으로는 중국 내륙 34%(산둥 22%·북경 7%·상해 5%), 북한 9%, 기타 6%로 분석됐다. 다만, 조사가 이뤄진 5∼6월은 중국의 영향이 크지 않은 시점이어서 난방 수요가 많은 겨울철에는 중국 요인이 34%보다 높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NTNU 연구결과 자료

같은날 노르웨이 과학기술대(NTNU) 대니얼 모런 박사팀이 세계 189개국의 1만3천여 도시의 연간 CO₂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최대 배출 도시는 서울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서울의 CO₂배출량은 276.1±51.8Mt(Mt=100만t)으로 집계됐고 중국 광저우가 272.0±46.2Mt으로 2위, 미국 뉴욕이 233.5±75.4Mt으로 3위다. 홍콩(208.5±37.8Mt), 로스앤젤레스(196.4±43.7Mt), 상하이(181.0±44.6Mt), 싱가포르(161.1±34.1Mt)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도시 중에서는 부산(42.3±15.6Mt) 50위, 대구(20.4±8.7Mt) 115위, 대전(19.2±8.0Mt) 126위, 광주(18.5±7.8Mt) 132위, 울산(15.4±5.6Mt) 155위 등 12개 도시가 CO₂배출 상위 500개 도시에 포함됐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