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긴축발작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경고 수준 높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6월 중에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13년과 같은 '긴축발작'이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 수준을 높였다. 

이주열 총재는 4일 서울조선호텔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 당시 미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 신호가 신흥시장국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했다"며 "앞으로 선진국들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와같은 급격한 자본이동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은 언제든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이 총재는 "최근에도 미국 금리상승에 따른 달러화 강세가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 원인이 됐다"며 "각국 금융과 교역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돼 있어서 주요국의 정책 변화는 국제금융시장과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다시 국내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오는 12∼1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이 통화정책 결정에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미국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등 국내 지표가 나쁘지 않아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한은은 지난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후 의결문에서 향후 고려요인으로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를 1순위로 끌어올렸다. 이 총재도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6월 미국 금리 결정이 신흥국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의 금리인상과 교역관계 재정립으로 상당수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있어 신흥국발(發) 6월 글로벌 경제위기설까지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터키, 인도네시아, 브라질, 멕시코, 헝가리, 폴란드, 체코 등의 통화 가치가 하락하고 있고 투자자들은 북미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돈을 빼내면서 신흥국 채권 펀드에서 자금이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는 통화가치 급락 같은 불안요인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해외변수에 민감한 한국경제 특성상 신흥국발 통화위기가 본격화하면 우리 경제도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작지 않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