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어민 북송 사건의 책임자를 밝혀내고 엄중히 처벌해 다시는 한국에서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윤 정부가 해야 할 일 가운데 하나”

미국의 인권 전문가들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인권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6일 보도했다. 북한인권대사 임명과 북한인권재단 출범 적극 추진 등 새로운 정책들이 실질적인 북한 인권 증진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는 기대도 나왔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담당 부국장은 VOA에 윤 대통령이 인권 문제를 대북 정책의 중요한 핵심 요소로 내세우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북한과 그 지도부를 우리가 원하는 모습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현실적으로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김정은의 권력과 통제의 원천은 북한주민들이 체포와 학대, 수용소로 보내지는 등의 상황 직면에 대한 큰 두려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북한에 남북관계의 진전을 원한다면 권리를 존중하고 정책을 바꾸라고 요구하는데 우선순위를 두는 것은 옳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남북관계 정상화 차원에서 북한인권 관련 공약을 제시했다. 문재인 정부가 사문화한 북한인권법의 북한인권재단 출범을 약속했다. 통일부는 지난 25일 국회에 북한인권재단의 급선무라 할 수 있는 이사 추천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여당과 야당이 각각 5명씩, 통일부 장관이 2명을 추천해 이사진을 꾸리는 등 행정 절차를 걸쳐야 재단이 출범하는데 정부가 본격적인 행동에 나선 것이다.

또한 정부는 지난 20일 문재인 정권 5년 동안 공석이었던 북한인권대사를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문 대통령의 문제는 북한에 대처할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는 점”이라며 문 대통령 자신이 남북평화와 화해를 너무 강력하게 믿었기 때문에 김정은도 그럴 것으로 착각했다고 그 결과 문 대통령은 변화의 신호를 놓치고, 언제 어떻게 북한에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냉철한 분석보다는 희망적인 사고에 관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움직임은 점차 유화적인 태도와 유사해져 북한으로부터 조종과 경멸을, 한국과 국제 비평가들로부터는 분노를 샀다”고 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 사건,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 등 북한인권 문제를 둘러싼 문재인 정부의 논란을 되돌아보고 변화를 이끌려는 윤 정부의 북한 인권 전략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고 VOA는 전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윤 대통령이 인권문제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것이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인권 전략과 정책을 먼저 내놓는 동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새로운 북한인권대사가 북한인권을 다루는 관련 조치들을 지원하는 등 유엔에서 한국의 관여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유엔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 초안 작성에 참여하는 것이 그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탈북민 지원에 소극적이었던 문재인 정권의 정책을 지적하면서 탈북민 정착 지원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탈북어민 북송 사건의 책임자를 밝혀내고 엄중히 처벌해 다시는 한국에서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윤 정부가 해야 할 일 가운데 하나”라고 강조했다.

헤리티지재단 인권 전문가 올리비아 에노스 전 선임연구원은 VOA에 “한국정부가 다시 북한인권 문제에 집중하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인 신호”라며 “문재인 정부 아래서 북한과의 관여 확대를 열망한 나머지 모두가 알고 있는 인권문제를 간과한 큰 잘못이 있었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두 배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다행히 우리는 새 정부에서 그런 것을 보고 있다”고 했다.

에노스 전 선임연구원은 “이 같은 한국정부의 행보는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중시하는 미국의 입장과 동일선상에 있다는 신호로 한미동맹 협력의 영역을 넓힐 계기가 된다”며 한국정부의 대북 인권 정책이 실질적인 북한인권 증진으로 이어지길 희망했다.

그는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장기화한 북한정권의 국경 봉쇄 조치로 북한 내 상황이 악화됐고 정치범수용소 내 수감자 같은 일부 문제들은 감시망에서 사라져버렸다”며 “그런 것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