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램 매출이 2개 분기 연속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메모리반도체 제품의 매출이 감소한 배경에는 우크라이나 장기화와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 등으로 IT(정보통신) 제품 생산량에 차질이 생긴 탓도 있지만 등락을 반복하는 D램 가격이 하락 국면에 진입한 여파가 크다.

12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은 42.7%였다. 직전 분기보다 0.8%포인트(p) 늘어 독보적인 1위 자리를 굳혔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삼성전자 D램 매출은 103억4천300만달러(약 13조4천769억원)로 직전 분기보다 900만달러(약 117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D램 매출 115억3천만달러(약 15조236억원) 달성 이후 2개 분기 연속 하락이다.

글로벌 D램 업황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하락세에 진입한 점이 크게 작용했다.

D램 범용제품의 고정거래 가격은 지난해 10월 9.5% 급락했고 올해 1월에도 8.1% 급락했다. 이후로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 1분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 장기화 등 대외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IT 제품 생산에 차질로 인해 모바일용 D램 수요가 약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 세계 D램 시장 규모는 지난해 3분기 262억3천900만달러(약 34조2천287억원)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개 분기 연속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세계 D램 시장 규모는 242억4천800만달러(약 31조6천315억원)였다.

글로벌 2위 업체인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D램 매출은 65억5천900만달러(약 8조5천594억원)로 직전 분기보다 8억7천100만달러(약 1조1천366억원) 줄었다.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은 직전 분기보다 3%p 줄어든 27.1%였다.

문제는 글로벌 D램 업황이 올해 하반기에도 나아지기 어려울 것이란 점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 및 경기침체 우려를 지적하며 3분기 D램 가격 하락폭을 기존 3~8%에서 5~10%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