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가구원수별 구성비 추계 (통계청 제공)

결혼과 출산 감소로 30년 뒤에는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40%를 차지하고, 1인 가구 절반이 65세 이상 고령층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0∼2050년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20년에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1.2%(648만가구)로 가장 많고 2인 가구(28.0%·580만가구), 3인 가구(20.3%·421만가구), 4인 가구(15.8%·328만가구)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30년 뒤에는 1∼2인 가구 비중이 더 커지고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줄어들 전망이다.

연평균 1인 가구는 8만6천가구, 2인 가구는 8만3천가구씩 각각 늘어나는 반면 3인 가구는 1만4천가구, 4인 가구는 6만2천가구, 5인 이상 가구는 2만2천가구씩 각각 줄어든다.

이에 따라 2050년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9.6%까지 늘고, 가구 수도 905만가구로 증가한다. 2인 가구는 36.2%(827만가구)로 늘어난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를 합치면 전체의 75.8%에 달하게 된다.

반면 3인 가구는 16.6%(380만가구)로 감소한다. 4인 가구는 6.2%(143만가구)까지 쪼그라든다. 5인 이상 가구는 1.3%(30만가구)에 그치게 된다.

1∼2인 가구가 증가하지만 3인 이상 가구가 감소하는 것은, 혼자 살거나 자녀 없이 부부만 사는 가구가 많아지는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적어지기 때문이다.

부부 둘만 사는 부부가구는 2020년 16.8%(348만가구)에서 2050년 23.3%(534만가구)로 늘어난다.

그러나 부부와 자녀로 이뤄진 부부+자녀가구는 같은 기간 29.3%(608만가구)에서 17.1%(391만가구)로 줄어든다.

부+자녀 혹은 모+자녀로 이뤄진 한부모 자녀가구는 2020년 9.8%(203만가구)에서 2050년 8.6%(196만가구)로 소폭 감소한다.

한편, 가족으로 이뤄진 친족가구 비중은 2020년 66.8%에서 2050년 57.3%로 줄어든다. 부부나 친족이 아니지만 같이 사는 가구가 많아진다는 의미다.

2050년에는 10가구 중 4가구가 1인 가구가 된다. 그러나 고령화에 따라 1인 가구의 주된 특성이 지금과는 다소 달라질 전망이다.

2020년에는 1인 가구 중 20대 비중이 18.8%(122만가구)로 가장 많았고 30대 비중도 16.8%(109만가구)로 상당했다.

50대는 15.8%(103만가구), 60대는 15.5%(100만가구), 40대는 13.8%(89만가구), 70대는 11.1%(72만가구)였다.

하지만 2050년에는 80세 이상이 24.5%(222만가구)로 1인 가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70대도 18.4%(166만가구)로 늘어난다.

20대 1인 가구는 6.9%(62만가구)로 줄고, 30대 1인 가구 역시 11.5%(104만가구)로 감소한다.

65세 이상 고령의 1인 가구는 2020년 25.0%(162만가구)에서 2050년 51.6%(467만가구)로 늘어난다. 전체 1인 가구 중 절반은 고령층이 되는 것이다.

외국과 비교하면 2040년 기준으로 한국의 1인 가구 비중은 독일·일본보다 낮고 영국·호주·캐나다보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040년 한국의 1인 가구 비중은 37.9%인데 독일은 45.3%, 일본은 39.3%로 한국을 상회한다. 반면 영국은 32.8%, 호주는 26.6%, 캐나다는 30.2%(2036년), 뉴질랜드는 20.5%(2043년)로 한국보다 낮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