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내 근로자 가운데서 자영업자 등 비(非)임금근로자 비중이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23년 연속 하락세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임금근로자는 652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3.9%였다. 비임금근로자는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합한 것인데 여기서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이나 친척을 말한다. 

비임금근로자에서 자영업자가 551만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0.2%, 무급가족종사자가 100만7천명으로 3.7%였다. 임금근로자는 2천75만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76.1%였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23.9%)은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6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1964년 69.3%로 정점을 찍었고 1984년 47.1%로 처음으로 50%선 아래로 떨어졌다. 하락세는 계속 됐고,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도 23년 연속 하향 곡선을 그렸다.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정체였던 반면 임금근로자는 많이 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는 652만명, 50년 전인 지난 1971년 비임금근로자는 602만4천명이다. 8.2% 늘어나는 데 그친 것이다. 반면 임금근로자는 1971년 392만3천명에서 지난해 2천75만3천명으로 429.0% 증가했다. 20년 전인 2001년(1천365만9천명)과 비교해도 51.9%나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도 높은 수준이다.

국내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가운데서 8위(2019년 기준)였다. 미국(6.1%)의 4배, 일본(10.0%)의 약 2.5배 수준이다.

주요 선진국에 비해 임금근로자가 아직도 턱없이 적다는, 고용을 창출하는 기업들이 더욱 많아져야 한다는 해석도 가능한 대목이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