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체의 비행거리는 700km 이상, 최대고도는 약 60km, 최대속도는 마하 10 내외”

북한이 지난 5일에 발사한 '극초음속' 탄도 미사일

북한이 11일 발사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의 속력이 약 마하10(음속의 10배, 약 3.4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5일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속력이 마하5~6으로 추정되는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빨라진 것이다.

합참은 이날 “우리 군은 7시 27분쯤 북한이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탐지했다”며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700km 이상, 최대고도는 약 60km, 최대속도는 마하 10 내외”라고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지난 1월 5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현재 한미 정보당국이 발사체의 제원과 특성을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했다.

또한 “우리 군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추가발사에 대비하여 관련 동향을 면밀하게 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 군은 이번 발사체에 대해 탐지 및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응체계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군사적 긴장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마하10은 중국과 러시아가 보유한 극초음속 미사일 수준의 속력이다. 전문가들은 한국과 미국의 현 미사일 방어체계로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경우 요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북한이 핵탄두를 탑재한 극초음속 미사일을 수도권으로 발사할 경우 도달까지 1분도 걸리지 않아 대비할 시간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미국, 일본, 유럽 등 국제사회는 이날 북한의 지난 5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공개회의를 개최했다. 안보리 회의는 한국시간으로 이날 오전 5시경에 시작됐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10일(현지시간) 비공개회의 직전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6개국은 성명에서 “우리는 오늘 북한의 가장 최근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데 단합돼 있다”며 “북한의 1월 5일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의 여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규탄했다.

이어 “북한의 계속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추구는 국제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며 “이번 발사는 일련의 탄도미사일 발사 중 가장 최근 사례로 자신들의 불법 무기 역량을 확대하려는 북한의 결의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6개국은 “이런 행동은 긴장 고조와 오판 위험을 높이고 역내 안정에 중대한 위협을 제기한다”며 “이런 의지는 북한이 지난해 다양한 미사일 시스템을 전시하고 극초음속 활동탄두와 같은 신기술을 추구하고 있다고 밝힌 데서도 분명히 드러난다”고 했다.

특히 “북한의 무기 확산 전력은 분명하다”며 “각각의 미사일 발사가 북한 자체의 역량 향상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불법 무기 구매자와 중개인에게 수출할 수 있는 무기 제품군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이어 “북한은 주민들의 안위를 희생하며 이러한 군사투자를 하고 있다”며 “북한주민들은 엄격한 권위주의 정권과 점점 더 심각한 인도주의 위기로 계속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6개국은 북한에 “불안정을 가중하는 행위를 삼가고,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요구한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에 부합하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의미있는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것이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국가는 유엔 안보리와 국제사회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반대와 대북제재에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6개국은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계속되고, 불안정을 초래하며, 불법적인 행동을 반대하는 데 단합할 것을 독려하며, 모든 회원국이 안보리 결의에 따른 제재 의무를 이행할 것을 요구한다”며 “우리의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라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0월에도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등에 대응해 2차례 안보리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구체적인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