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6% 이를 수도...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선택하기 매우 곤란한 시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최고 수준이 5%대 중반에 이르렀다.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하루 만에 0.2%포인트(p) 오르는 일이 있을 정도로 강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발 금리 인상기가 도래하는 시기인데다가 한국은행까지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상황이라 향후 금리는 가파르게 오를 가능성이 크다. 대출자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A은행의 이달 1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3.68∼4.68% 수준이다. 지난달 31일 금리가 3.47∼4.47%였음과 비교해 상단과 하단이 모두 0.2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 역시 3.88∼5.08%에서 4.00∼5.20%로 상하단이 0.12%포인트씩 상승했다.

은행 관계자들조차 이렇게 자고 일어나면 뛰는 대출 금리에 "워낙 빨리 오르는 은행채 등 시장금리를 반영한 것이지만, 이처럼 금리가 하루에 0.2%포인트나 오르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31∼4.814% 수준이다. 8월 말 2.62∼4.19%였음과 비교하면 각 0.69%포인트, 0.624%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대출 금리 상단이 연말에 6%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눈에 띄는 것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의 상승 폭이 변동금리보다 더 크다는 점이다.

주요 시중은행의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약 0.6%포인트나 높은 것은 은행들이 시장금리 상승에 대비해 고정금리에 가산금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은행으로서도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을 고객과 나눠질 수밖에 없다.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는 한 달 주기로 바뀌지만, 고정금리의 기준인 금융채는 거의 매일 시장금리 영향을 받는다. 금리 상승기에 고정금리의 상승 속도가 변동금리보다 빠른 이유다.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등을 고려하면 시장금리는 내년에도 계속 오를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하나를 선택하기가 매우 곤란한 시기"라며 "향후 1년간 기준금리가 0.25%포인트씩 세 차례, 0.75%포인트 이상 오른다는 것을 확신하는 대출자 정도만 현재 0.6%포인트나 더 높은 고정금리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