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플로리다 아파트 붕괴사고 현장 [AFP=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 아파트 붕괴사고 현장 [AFP=연합뉴스]

미국 마이애미에서 붕괴된 12층 아파트 참사 소식이 우리 국민의 ‘삼풍백화점 참사’를 소환했다. 마침 지난 29일은 삼풍 붕괴 사고 26주기였다. 원인과 형태는 다르지만, 안전 경보를 무시한 인재라는 공통점을 보여줬다.

24일 새벽(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의 서프사이드에 있는 12층짜리 챔플레인 콘도(아파트)가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 원인에 대한 정확한 조사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만, ‘안전 경보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게 됐다.

3년 전 보수공사가 필요하다는 보고서 무시한 인재(人災)

지난 2018년 안전진단 보고서에 '건물 곳곳에서 균열 등 중대한 하자들이 발견됐다'는 지적 사항이 기재돼 있었다는 사실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붕괴한 아파트는 3년 전 100억원이 소요되는 보수공사가 필요하다는 견적을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야외 수영장과 지하 주차장 등 곳곳에 심각한 손상이 있다는 진단에 이어 대규모 금액이 투입되는 공사 필요성까지 제기됐다. 하지만 즉각적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탓에 대규모 참사를 초래한 것으로 관측된다.

당시 안전진단을 담당했던 ‘모라비토 컨설턴츠’는 이 아파트를 보수하는 데 910만달러(약 102억원)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 이 중 주차장과 현관, 수영장 수리에 드는 비용만 38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보수는 이뤄지지 않았다.

게다가 당시 마을 감독관 로스 프리토가 건물의 심각한 손상을 지적한 ‘모라비토 보고서’를 검토하고도 아파트 주민위원회 회의에서 “건물 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참사의 원인으로는 사고 발생 초기에 ‘팬케이크 붕괴’가 거론되었다. 팬케이크 붕괴란 다층 건물이 마치 팬케이크를 여러 장 겹쳐놓은 모습으로 무너지는 현상을 말한다. 각 층이 대략적인 모양을 유지한 채 차곡차곡 쌓인 모습이 얇은 빵을 여러 겹 겹쳐 쌓은 팬케이크의 형태와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미국 9·11 테러 당시 쌍둥이 빌딩이 대표적인 팬케이크 붕괴 사례로 꼽힌다. 비행기가 빌딩의 측면과 충돌했을 때 건물의 뼈대가 파손되면서 상층부부터 건물이 무너졌다. 각 층이 붕괴될수록 무게는 계속 쌓여 구조에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사고 발생 후 6일이 지나면서, 사고 발생의 원인은 대략 2가지 정도로 좁혀지고 있다.

① 바닷물에 아파트가 침식되면서 구조물 전체로 퍼져 나가

워싱턴포스트(WP)는 사고 아파트가 40년 전 간척지에 세워진 점을 지적하며, 마주하고 있는 바다의 수면이 기후변화로 상승하면서 지반이 약화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모래와 침전물로 돼 있는 건물 밑바닥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침전물이 빠져나가면서 침하를 일으켰다는 설명이다.

WP는 실제 챔플레인 아파트가 조금씩 가라앉고 있었다는 시먼우도윈스키 플로리다 국제대 교수(지구환경)의 연구 기록도 공개했다. 지난해 4월 발간된 논문에 따르면 ‘마이애미 동부 해변의 12층짜리 건물이 1993~1999년 사이 매년 2㎜씩 내려앉았다’고 밝혔다. 그 건물이 이번에 붕괴된 챔플레인 아파트로 드러나 충격을 안겨주었다.

플로리다 아파트 붕괴사고 구조현장 [AP=연합뉴스 자료 사진]
플로리다 아파트 붕괴사고 구조현장 [AP=연합뉴스 자료 사진]

해수면 상승을 알린 날씨 분석 기관의 자료도 이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날씨 분석기관인 캐피털 웨더 갱의 자료에 따르면, 마이애미 지역의 해수면은 지난 한 세기 동안 무려 30㎝ 이상 올랐다. 특히 199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의 상승 폭이 15㎝였다. 이 때문에 마이애미 지역에선 지난 23년간 홍수 발생 빈도가 32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 빈도가 늘어나면서, 그동안 비가 오지 않는 날에도 밀물이 심하면 건물 저층부가 물에 잠기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진다.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간 바닷물은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켜 기둥을 약하게 했다는 것이다. 구조물이 바다에 인접했을 때 이럴 가능성은 더 높다고 한다. 콘크리트 보수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콘크리트 암"이라고 표현했다. 암세포처럼 콘크리트 속으로 바닷물이 파고들기 시작하면 구조물 전체로 퍼져 결국 무너지게 한다는 것이다.

② 콘도 하부에서부터 점진적 붕괴가 일어났을 가능성 제기돼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이번 참사와 관련해 "전문가들이 콘도 하부 결함에서 '점진적 붕괴'(progressive collapse)가 일어났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건물 붕괴 전문가에 따르면 "빌딩 상층부 문제로 건물이 팬케이크처럼 겹겹이 무너져 내린 게 아니라, 구조물의 바닥 또는 바닥에서 매우 가까운 곳에서 붕괴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즉 수영장 밑이나 지하주차장 내부, 혹은 그보다도 더 하단부 쪽을 '붕괴가 맨 처음 발생한 지점'으로 지목한 것이다. 건물 남쪽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에 의하면, 건물이 한꺼번에 무너져 내린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붕괴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영상을 보면, 건물 중앙 남쪽 부분이 먼저 수직으로 주저앉았고 이후 뒤편에 남은 구조물이 내려앉았다. 그리고는 약 6초가 지나자 동쪽에 덩그러니 남아 있던 건물마저 무너졌다. 붕괴 직전 실종된 한 주민은 가족과의 전화 통화에서 "수영장 근처에 일종의 구멍이 생기는 것을 봤다"고 말했던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뉴욕타임스는 ‘점진적 붕괴’(progressive collapse)의 원인으로 디자인 결함, 건물이 지어질 당시의 허술한 규제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이지만, 건물 하부의 결정적 결함이 붕괴 촉발의 ‘방아쇠’가 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WP와 달리, 바닷물로 인한 침식이 원인이라는 분석은 내놓지 않았다.

어느 경우이든, 초기 제기됐던 ‘팬케이크 붕괴’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는 분석이다. 이 붕괴와 관련, 국내에서도 40년 이상된 건물의 안전도 검사 실시가 필수적이라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양준서 객원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