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냈다.

크루그먼 교수는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에서 가상화폐의 경제적인 효용을 분석했다.

우선 크루그먼 교수는 2009년에 탄생한 첫 번째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기술적 개념을 살펴봤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소유권이 증명되고, 물건을 살 수 있는 화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비트코인이 출시된 지 12년이 지났지만 비트코인은 아직도 정상적인 화폐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투기의 수단 외에 가상화폐가 사용된다고 하는 곳은 돈세탁이나 해커의 금품 요구와 같은 불법적인 분야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결제 앱 '벤모'(venmo)도 2009년에 출시했다고 언급했다.

눈 깜짝할 사이에 시장 환경이 바뀌는 정보통신(IT) 분야에서 탄생한 지 12년이 지난 가상화폐가 아직도 불법적인 분야 외에 효용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은 존재 의미 자체에 의문을 들게 하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크루그먼 교수는 의미 있는 효용을 찾을 수 없는 가상화폐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자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이는 다단계 사기와 사실상 같은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먼저 투자한 사람은 엄청난 이익을 얻지만, 이는 나중에 몰려든 투자자들의 돈이라는 것이다.

그는 "다단계 사기가 이렇게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나"라고 자문한 뒤 역대 최고규모의 다단계 금융사기범으로 꼽히는 버나드 메이도프를 예로 들면서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메이도프는 1970년대 초부터 2008년까지 20년 넘게 신규 투자금을 유치해 그 돈으로 기존 투자자의 수익금을 지급하는 금융사기를 저질렀다. 피해액은 650억 달러(약 72조5천억 원)로 역사상 가장 큰 규모다.

다만 크루그먼 교수는 가상화폐의 거품이 조만간 터질 것이라고 확신할 필요도 없다고 지적했다.

금도 실제 생활에서 교환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가치를 인정받는 것처럼 가상화폐 중에서도 1~2개는 생명력을 어느 정도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다.

이어 그는 가상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반복하면서 칼럼을 맺었다.

크루그먼 교수는 "가상화폐가 생명력을 유지하든 말든 별로 큰 상관이 없다는 것이야말로 좋은 소식"이라면서 "가상화폐가 의미 있는 효용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나중에 무슨 일이 생겨도 투기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의 삶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