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 전년보다 배 이상 늘어...취약층서 비자발적 실직 더 많아

비자발적인 이유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 등으로 고용 시장이 한껏 얼어붙은 상황에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고용 한파가 더욱 매섭게 몰아닥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임시·일용직과 영세 사업장 등 취약층에서 비자발적 실직자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일을 그만둔 지 1년 미만인 비자발적 실직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219만6천명이었다. 전년 동기의 147만5천명보다 48.9% 증가한 수치로 실업 통계 기준이 바뀐 2000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00년에는 186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이 있던 2009년에는 178만9천명으로까지 늘어난 적 있지만 2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 자발적 이유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비자발적 실직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두게 된 사람들이다.

지난해 219만6천명에 달했던 비자발적 실직자들의 실직 사유로는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110만5천명),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48만5천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34만7천명), '직장의 휴업·폐업'(25만9천명) 등이 있었다.

전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직장이 문을 닫거나 퇴직·해고로 비자발적 실직을 한 사례가 배 이상 늘었다. 각각 '직장의 휴업·폐업'이 149.0%,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가 129.8% 증가했다.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은 42.6%,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는 25.6% 증가했다.

비자발적 실직자들의 실직 전 지위를 보면 임시근로자가 40.3%(88만5천명), 일용근로자가 23.2%(51만명) 순이었다. 자영업자 중에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9.6%(21만명)로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9%(4만1천명)보다 많았다. 임시·일용직이 상용직보다, '나홀로 사장님'이 '직원 둔 사장님'보다 비자발적 실직이 많았던 것으로 집계돼 특히 취약층에 타격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비자발적 실직자 중에서 49.4%(108만5천명), 즉 절반 가까이가 한 가구의 가장(가구주)이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에 종사했던 비자발적 실직자가 12.5%(27만4천명)로 가장 많았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36.8%(80만8천명)로 최다였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