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들, 기관과 외국인 매도 행렬에도 무서운 기세로 사들여
주로 3040 투자자들로 기존 개미 투자자들과는 달라
우량주 중심으로 장기투자 "예적금으로 두느니 삼성전자 사자"
"매달 월급에서 100만원씩 매입" "어차피 집 못 사 마이너스통장으로 주식 매입"

증시에 개인 투자금이 물밀듯이 유입되고 있다. 새해 들어서도 개인 투자자들은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 행렬에도 굴하지 않고 무서운 기세로 국내 증시 대표 우량주들을 적극 매입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주로 3040 투자자들이며, 기존 개미 투자자들과는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동학개미'가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증시에서 보이는 행태는 과거의 개미와는 다르다. 레버리지형 상장지수펀드(ETF)나 '곱버스'(인버스 레버리지형 ETF)를 매매하며 지수 방향성에 베팅하거나 테마 종목에 편승해 단기차익을 노리는 것이 그간 개인 투자자들의 대표적인 투자 행태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금의 개인 투자자들은 삼성전자 등 성장성이 높은 혁신기업과 국내 증시 대표 우량주 위주로만 주식을 계속 사들이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증시 과열 논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장기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장은 "회사 열심히 다녀서 인정받고 있는데 집 안 샀더니 한순간에 거지가 됐다고 해서 '벼락 거지'란 말이 생겼다. 그들에게 이제 거의 유일하게 남은 투자 대상이 주식과 금융투자상품"이라며 "근래 증시에 들어온 개인들은 대체로 신중한 성향인 분들"이라며 "유튜브 등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찾아 공부하면서 단기 손실에 개의치 않고 장기 투자를 목표로 한다"고 했다.

한 30대 직장인 남성은 "적금 금리를 보고 '현타'(현실자각 타임의 준말)가 왔다. 주식에 매달 월급에서 100만∼200만원을 넣고 있다. 손실을 보면 감정적으로 버티기 힘들 것 같아 삼성전자 등 안정적인 대기업에만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또 다른 30대 직장인 남성도 "뉴스에서 증시가 자꾸 나오고 유튜브에서도 투자 얘기가 많이 나와 작년에 처음으로 주식 계좌를 만들었다. 예금금리가 너무 낮은 것도 한 이유다. 떨어져도 어차피 '존버'(최대한 버티기를 뜻하는 비속어)할 것이다. 야근비로 조금씩 투자액을 늘리는 중이다"라고 했다.

개인들이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에 대해서도 젊은 세대들은 부정적이지 않다. 

개인 투자자들이 지난 5일 기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신용융자잔고)은 19조6천241억원으로 역대 최고치였다. 1년 전 9조원대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며 곧 20조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30대 직장인 남성은 "11월 신용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 마이너스통장을 개설했다. 그 자금으로 집을 사기는 불가능해 최근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증시나 경기가 꺾이지나 않을까 한편으로 걱정이 되기는 하지만, 우량주 중심으로 투자했기 때문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기대를 걸고 있다"고 했다.

일부 40대들도 주식 매입에 눈을 돌리고 있다. 주부 A씨는 "주변에서 주식으로 얼마 벌었다는 얘기를 들으면 나만 뒤처지는 것 같아 한숨만 나온다. 여유자금 1천만원을 추천받은 대기업에 묻어두고 손실이 나도 장기투자하려 한다. 펀드는 은행에서 권유해 들어봤지만 좋은 기억이 없다"고 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일자리도, 미래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화폐가치 하락으로부터 자산을 지켜야 한다는 마음에 모두 투자를 하는 상황"이라며 "강도 높은 규제에도 부동산이 떨어지지 않고 주가가 오르는 것도 이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증시가 과열됐다는 주장에 대해 입장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대체적으로는 달러 약세 기조가 계속된다면 풍부한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이 양호한 우량주 중심으로 주가 상승이 계속되리라 보고 있다. 다만 당혹스러울 만큼 주가 상승이 단기에 가파르게 나타난 점을 두고 단기 조정 가능성을 경고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